본문 바로가기

영도섬의 비밀/영도활동사진

“달집에선 달이 활활, 가슴에선 희망이 활활”

정월대보름, 영도에서 달집을 태우다

“달집에선 달이 활활, 가슴에선 희망이 활활”

   

김형오

지난 2월 6일, 제14회 정월대보름 영도 달맞이 축제가 열렸다. 하이라이트는 단연 달집태우기. 한국해양대학교 제2캠퍼스 부지에서 점화된 달집은 기세 좋게 타오르며 주민들 가슴을 희망으로 물들였다.

달집태우기는 정월대보름을 맞아 생솔가지나 나뭇더미를 쌓아 ‘달집’을 짓고 보름달이 떠오르면 불을 놓아 제액초복(除厄招福)을 염원하던 세시풍속이다. 달은 예로부터 풍요와 생명력의 상징으로서 농경 및 어로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요즘 <해를 품은 달>이란 퓨전 사극이 국민 드라마로 떠올랐다. 달집태우기를 하던 날은 비록 하늘이 흐려 달을 볼 수 없었지만, 우리가 만든 달집은 이미 그 안에 달을 품고 있었다. 활활 타는 달집과 함께 우리 가슴 안에서 밝음과 희망의 불꽃도 활활 타올랐음은 물론이다.

몇 컷의 사진으로 그 축제의 현장을 스케치했다.

 

 

▲높다랗게 달집이 지어졌다. 영도구민의 무사안녕, 의사소통, 만사형통, 운수대통, 소원성취, 송액영복을 기원하는 플래카드와 함께 각자의 희망사항을 적은 종이들이 달집 주위에 내걸렸다.

 

▲정월대보름 영도 달맞이 축제가 그새 열네 번째를 맞이했다. 특별한 일이 아니라면 해마다 거르지 않고 참석해 주민들과 자리를 함께 했던 행사다. 축사를 하고 있는 내 등 뒤로 기세 좋게 달집이 타오르고 있다. 물론 실크스크린 사진이다.

 

▲한복을 곱게 차려 입은 여신들이 채화봉에 불을 밝혀 들고 주단 위를 걸어간다. 이때쯤이면 지켜보는 주민들 가슴도 서서히 달아오르기 시작한다. 불씨를 이식하듯 가슴 밭에 저마다 희망의 씨앗을 이식할 자리를 마련한다.

 

▲여신들로부터 채화봉에 불을 옮겨 받았다. 내 옆에서는 풍물놀이패들이 신명나게 흥을 돋우고 있다. 세시풍속은 역시 우리 국악과 어우러져야 한결 제 맛이 나는 법이다.

 

▲채화봉으로 달집에 불을 질렀다. 순식간에 달집이 수천 개의 혓바닥을 내밀고 허공을 탐식한다. 주위가 환해지고 따뜻해진다. 어릴 적 불놀이를 하던 기억이 선연하게 되살아난다.

 

▲불꽃은 이제 달집을 완전히 삼켜 버렸다. 풍요의 상징인 대보름달과 온갖 액운을 살라버리는 정화의 상징인 불이 혼연일체가 되어 타올랐다. 질병과 근심걱정일랑 모두 사라지고 희망과 행복의 날들만이 다가오기를 간절히 염원했다.

 

▲불타오르는 달집을 스마트폰으로 스케치하고 있는 나를 누군가가 뒤에서 카메라에 담았다. 마치 내 스마트폰이 불꽃 한가운데서 타오르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