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Story/도서관

[월간조선 4월호-우리 시대의 고전]

<우리 시대의 古典> 

崔仁勳의 『광장』

피카소에게 피가 물감이었듯

최인훈의 잉크 또한 心血이었다

   

金炯旿(국회의원, 18대 전반기 국회의장)

   

“정치사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1960년은 학생들의 해이었지만, 소설사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그것은 『광장』의 해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문학평론가 김현의 말이다. 그런 선언적 찬사가 전혀 과장되게 들리지 않을 만큼 『광장』은 전후 한국 문학의 지평을 새롭게 연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그랬다, 『광장』은 1960년대 벽두에 그날의 통행금지 해제를 알리는 새벽 4시의 사이렌 소리처럼 잠든 의식을 뒤흔들어 깨우며 등장했다.
 

나에게도 『광장』은 육중한 감동을 동반하고 찾아왔다. 전율 그 자체였다. 내 청춘의 독서, 그 맨 윗줄에는 『광장』이 있다.

4.19 혁명의 해인 1960년 11월에 탄생한 『광장』을 내가 처음 읽은 것은 고등학교 2학년 때였다. 그 뒤 대학에 들어가 두 번쯤 더 그 작품을 읽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60년대와 70년대 학번 치고 『광장』의 세례를 받지 않은 인문학도가 몇이나 될까.

『광장』 이후 나는 한동안 최인훈의 소설에 매료되어 살았다. 『구운몽』『회색인』『총독의 소리』 등 어떤 정치학자나 사회학자보다도 더 예리한 시선으로 현실을 진단하고 우리 사회의 부조리를 해부해내는 그의 작품들에 몰입했다. 작중 인물들과 더불어 고뇌하고 번민했다.


지금도 신기하게 여겨지는 것은 『광장』이 그 서슬 퍼런 군사 정권 시대에 검열의 칼날, 판금의 덫을 용케 피해 왔다는 사실이다. 지하 밀실의 백열전등 아래서 남몰래 읽어야 했을 것 같은 소설이 햇빛 아래 광장에서 팔리고 읽혔다는 것은 불가사의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김지하 시인의 『황토』와 『타는 목마름으로』, 현기영의 『순이 삼촌』, 정지아의 『빨치산의 딸』 등 숱한 문학 작품들이 불온서적이란 오명을 쓰고 날개가 꺾였다. 남정현의 『분지(糞地)』는 반미 용공적이라는 죄목으로 작가가 구속까지 당했던 시대였다.

그런 상황에서 『광장』은 어떻게 비켜 서 있었을까. 그 까닭은 아마도 검열자들이 『광장』을 이념적 선동보다는 러브 스토리와 철학적 사색에 무게를 두고 저울질한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일방적 찬양이 아닌, 남한과 북한을 양비론적인 시각에서 다룬 것도 방어막 역할을 했으리라. 아니면 고도의 정치적 계산이 작용했을 수도 있다. 예컨대 판금 도서로 묶어 버리면 지하의 필독서가 되어 훨씬 더 파급 효과가 커질 거라 생각해 애써 외면해 버렸는지도 모르는 일이다.

 

줄거리를 간추려 보자.

철학도인 주인공 이명준은 월북한 아버지로 인해 혹독한 고문을 받은 뒤 ‘광장 없는 사회’인 남한을 탈출해 이북으로 간다. 그러나 그곳 또한 명준이 꿈꾸던 사회는 아니었다. 혁명의 탈을 쓰고 있지만 광장에서 밀실로 이어지는 길이 없고, 광장에는 수동적으로 끌려 다니는 꼭두각시 인민들만 존재할 뿐이다. 그렇다고 남으로 되돌아갈 수도 없다. 국립극장 발레리나인 은혜만이 유일한 삶의 이유고 희망이다. 전쟁이 일어나고, 명준은 낙동강 전선에서 간호병이 된 은혜를 만나 사랑을 이어 나가지만 그녀는 뱃속에 명준의 아기를 가진 채 전사하고 만다. 전쟁 포로가 된 명준은 휴전 이후 체제의 선택권이 주어지자 중립국으로 가기를 희망한다. 이제는 좁아질 대로 좁아져 자신의 두 발바닥이 차지하는 면적이 전부인 광장에 서서 명준은 인도 캘커타로 가는 배를 타고 있다. 그 배를 따라오는 두 마리 갈매기. 그 모습에서 명준은 어느 순간, 숨진 은혜와 태어나지 않은 자신의 딸, 그 환생을 본다. 망명지는 정해졌다. 명준은 배에서 행방불명된다. 사랑을 찾아 바다로 몸을 던져 남도 아니고 북도 아니고 중립국도 아닌, 그들만의 광장으로 망명의 길을 떠난 것이다.

김현은 이 작품을 “이데올로기와 사랑이라는 암초에 걸려 자살하지 않을 수 없었던 한 지식인의 외로운 자기 성찰”이라고 한 줄로 요약했다. 동의하고 공감한다. 다만 부연하자면 나는 주인공 이명준의 자살을 ‘망명’이란 단어를 써 표현하고 싶다. ‘사랑’에게로의 망명. 명준이 탄 뱃길에 동행하는 두 마리 갈매기가 암시하는 ‘연인 은혜와 사랑의 결실인 딸’, 그들과의 사랑을 완성하기 위해 이 고독한 청년은 바다로, 그러니까 하늘나라로 망명을 할 수밖에는 없었던 것이다. 이데올로기와 체제 갈등이 없는 그 나라로….

 

『광장』은 그 동안 수많은 평론가들에 의해 언급되어졌다. 하지만 나는 작가가 직접 쓴 ‘1961년판 서문’만큼 이 작품을 간략하면서도 정확히 묘파한 서평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 중 몇 줄을 옮김으로써 『광장』에 대한 이해를 도우려고 한다.

“인간은 광장에 나서지 않고는 살지 못한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 인간은 밀실로 물러서지 않고는 살지 못하는 동물이다. …광장은 대중의 밀실이며 밀실은 개인의 광장이다. 인간을 이 두 가지 공간의 어느 한 쪽에 가두어 버릴 때 그는 살 수 없다. 그럴 때 광장에 폭동의 피가 흐르고 밀실에서 광란의 부르짖음이 새어나온다. …이명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는 어떻게 밀실을 버리고 광장으로 나왔는가. 그는 어떻게 광장에서 패하고 밀실로 물러났는가. 나는 그를 두둔할 생각은 없으며 다만 그가 ‘열심히 살고 싶어 한’ 사람이라는 것만은 말할 수 있다. …바로 이 때문에 나는 그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어진 것이다.”

파블로 피카소는 자신의 작품을 일컬어 “모두가 피로 그린 것”이라 했다. 그런 의미에서 피카소의 피는 ‘총천연색’이다.

나는 최인훈의 『광장』 또한 그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피카소에게 피가 물감이었듯이, 최인훈의 잉크 또한 심혈(心血)이었다. 그에게 있어 『광장』의 집필은 피를 말리는 작업이었다. 그는 ‘심장의 피’를 펜촉으로 찍어 원고지 위에 말렸다.

작가 스스로 “가장 아끼는 작품”이라 고백했지만, 최인훈은 정말로 애정과 집착을 갖고 『광장』에 매달렸다. 지난해 5월에 발간된 7판까지 공식적인 개작만도 무려 열 번째에 이른다. 그래서 초판과 7판은 여러 모로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분량은 물론 내용과 문체, 단어와 토씨까지 확연히 달라졌다. 빼고 덧붙이고 고치고 바꾸고 다듬었다. 뿐만 아니라 그는 판을 거듭할 때마다 서문을 다시 쓰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이번에 내가 읽은 책에는 일곱 개의 서문이 실려 있었다. 『광장』은 아마도 텍스트가 가장 많은 작품이리라. 이는 세계 문학사를 뒤져 보아도 유례를 찾기 힘든 일이 아닐까. 

독일의 사회학자 막스 베버가 이런 말을 했다. “두 번 읽을 가치가 없는 책은 한 번 읽을 가치도 없다.” 나는 작가가 열 번을 고쳐 쓸 만큼 공을 들인 『광장』이야말로 두 번, 세 번, 아니 열 번 읽을 가치가 충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이번이 네 번째 독서이다. 

통행금지로 상징되던 군부 독재 시절, 나는 나의 ‘밀실’에서 『광장』을 읽었다. 심금을 울리는 길고 긴 사이렌 소리와 함께 내 청춘의 새벽이 열렸다.

그로부터 4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정치인이 된 나는 ‘광장’과 ‘밀실’을 자유롭게 오가고 소통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일을 최고의 가치로 삼고 노력해 왔다. 그것이 어쩌면 세상에 나온 지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광장』이 여전히 나에게 유효한 까닭이다.

그렇다, 분단 상황이 지속되는 한 『광장』은 우리를 억눌러온 이데올로기의 실상을 증언하는 문학으로서 그 존재 가치를 길이 빛낼 것이다. 아니, 통일이 되어 이념적 갈등에서 벗어난 뒤에도 『광장』은 스테디셀러로서 그 문학적 지위를 잃지 않으리라. 왜냐하면 『광장』은 이데올로기와 시대를 뛰어넘어 인간에게 주어진 운명적 사랑을 그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벗들에게 세월이 흘러도 낡거나 퇴색되지 않는 이 매력적인 작품을 추천하고 싶은 이유이기도 하다.

 

2002년 서울 월드컵 때 나는 경기장과 거리를 온통 붉게 물들인 붉은 악마들의 물결에서 ‘밀실과 광장의 통합’이라는 새로운 희망과 가능성을 보았다. 그 전까지 소설『광장』의 논리에 틀어박혀 있던 나는 또 한 번 전율했다. 그것은 들불보다 거센 기세로 밀실(IT·휴대폰)에서 전파된 하나의 혁명이었다. 순수하고 자발적인 파워로 문명사적 조류를 바꾼 일대 사건이었다. 붉은 악마의 마력은 마치 블랙홀처럼 온 국민을 광장으로 빨아들였다. 대한민국 곳곳에 ‘콜로세움’이 세워졌다. 로마 시대에 수십 년의 역사(役事)로 건설된 콜로세움이 문명의 이기를 업고 단 몇 시간 만에 들어선 것이다. 광장과 밀실을 통합하는 새로운 물결이 밀려오고 있다. 그 물결의 발원지에 『광장』이 있다.

 

※<월간조선> 2011년 4월호 권말 부록에 수록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