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29 조선일보 : 최경운·이슬비의 뉴스 저격]
"조국 앞에선 좌익도 우익도 없다… 통합의 끈 놓지않았던 게 白凡정신"
조선일보 최경운 기자 이슬비 기자
오늘의 주제: 金九 선생 서거 69주기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장 김형오 前국회의장에 물었다
내년(2019년)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자 임정(臨政)을 이끌었던 백범 김구(金九·1876~1949) 선생 서거 70주년이 되는 해다. '임정 100주년-백범 서거 70주년'을 한 해 앞두고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회장 김형오 전 국회의장)는 백범 기리기 사업에 나섰다.
백범 서거 69주기 날인 지난 26일에 즈음해 백범의 광복 후 국내 행적을 기록한 '백범의 길'을 펴냈다. 다음 달엔 임시정부 시절 백범의 행적을 좇아 중국 답사를 한다.
김형오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회장은 "온갖 고난 속에서 임정을 이끈 백범 정신은 조국 독립과 자유를 향한 희생과 헌신의 여정"이라며 "백범의 순수한 애민, 애족, 애국의 열정을 오늘에 되살려야 한다"고 했다. 김 회장은 최근 '백범일지(白凡逸志)'를 재구성해 풀어낸 책 '백범 묻다, 김구 답하다'(출판사 아르테)를 펴냈다. 저자인 김 회장을 만나 백범의 삶이 갖는 의미를 짚어봤다.
― 백범이 독립투쟁에 나선 정신적 기반이 궁금하다.
"백범의 일생을 관통한 저항 정신은 어릴 적 양반의 핍박을 온몸으로 받아내면서 상놈 신세 벗겠다는 '면천(免賤)' 의식에서 비롯됐다. 하지만 망국을 겪은 백범은 '상놈 콤플렉스'에 머물지 않았다. 훗날 백범은 양반에게 분노와 증오를 품기보다 '양반도 깨어라, 상놈도 깨어라'라며 통합과 개화를 강조했다. 저항하되 정신적으로 성숙한 평등주의자, 그것이 그를 독립투쟁으로 이끌었고, 수많은 분파와 갈등이 내재했던 독립운동 세력의 지도자로까지 끌어올렸다."
― 봉건적 세계관의 소유자였던 백범이 어떻게 혁명가가 됐나.
"백범은 17세(1892년) 때 양반이 되려고 과거에 응시했다. 하지만 당시 과거장은 대작(代作), 대필(代筆)이 다반사인 난장판이었다. 백범도 남이 대신 짓고 써준 답안지를, 그것도 효도하겠다는 생각에 아버지 이름으로 제출했다. 그러나 낙방했다. 부정·부패로 얼룩진 세상을 보고 개벽을 꿈꾸며 이듬해 동학(東學)에 입교했지만 우국충정과 분노만으로는 세상을 바꿀 수 없음을 깨닫게 됐다."
백범은 이후 명성황후 시해 사건에 격분해 황해도 안악군 치하포에서 일본인을 죽인 '치하포 사건'(1896년)으로 인천감옥소에서 사형수로 복역한다. 감옥에서 백범은 개화에 눈을 뜬다. 고종의 어명으로 사형 집행을 면한 그는 이후 탈옥해 방랑하다가 기독교에 귀의해 교육사업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일제의 탄압으로 국내 활동이 여의치 않자 중국 상하이로 망명길에 올랐다. 김 회장은 "백범의 표현을 빌리면 상하이 임정 시절이 '죽자꾸나 시대'였다면 충칭(重慶) 임정 시절은 '죽어가는 시대'였을 정도로 고난의 연속이었다"고 했다.
지난 25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본지와 인터뷰하는 김형오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회장. 김 회장은 “우리 사회 지도자들이 희생과 헌신이라는 백범 정신을 되새겨야 한다”고 했다.
지난 25일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본지와 인터뷰하는 김형오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회장. 김 회장은 “우리 사회 지도자들이 희생과 헌신이라는 백범 정신을 되새겨야 한다”고 했다. /박상훈 기자
― 백범이 임정의 지도자가 됐을 때 상황은 어땠나.
"백범은 1919년 상하이로 망명해 임시정부 청사 문지기를 자청했다. 그런 백범에게 도산 안창호 선생은 경무국장을 맡긴다. 하지만 임정은 시작부터 대통령 이승만을 지지하는 세력과 국무총리 이동휘 세력의 사상이 달라 갈등을 빚었다. 민주주의 세력과 공산혁명 세력의 대립이었다. 1921년 이승만이 상하이로 부임해 집무를 시작하자 이동휘는 총리직을 사직했고, 이승만도 결국 넉 달 만에 미국으로 돌아간다. 임정은 허울만 남은 채 좌·우익 갈등을 겪었다. 백범이 국무령에 취임하기 직전 2년 동안 6명이 국무령을 맡을 정도로 혼란스러웠다."
백범은 1926년 국무위원 전원이 사직해 사실상 무정부 상태나 다름없던 임정의 국무령에 취임했다. 당시 임정은 국무령이 내각을 이끄는 체제였다(백범은 1940년 임정 주석에 취임한다). 재정 상황도 최악이어서 독립운동 자금은커녕 청사 운영비조차 막막했다. 1920년 6만9000달러였던 임정 수입은 1927년 1445달러, 1928년 975달러로 줄었다. 임정이 나라 안팎의 독립운동을 지휘하기 위해 조직한 연통제가 일제의 탄압으로 위축된 탓이었다. 백범은 임정이 가진 권총 네 자루 중 두 자루를 팔아 운영비로 쓰기도 했다. 잠은 청사 빈방에서 자고 동포들 집을 기웃거리며 밥을 얻어먹고 지냈다.
― 침체한 임정의 독립투쟁이 되살아난 계기는 무엇이었나.
"백범이 조직한 애국단의 두 청년, 이봉창·윤봉길 의사가 벌인 의거(義擧)이다. 두 청년이 연이어 일으킨 의거는 일제의 이간계(離間計)로 악화했던 중국인들의 반한(反韓) 감정을 되돌려놨다. 두 의거는 백범의 '열린 마음' 덕분에 가능했다. 이봉창 의사의 경우 신원과 출신이 불분명하다는 주변의 우려가 컸지만 백범은 겉모습이나 나이, 지역, 출신을 따지지 않고 믿고 썼다. 백범은 애국 열정으로 독립투사를 길렀고, 그들은 기꺼이 조국을 위해 싸웠다."
하지만 1932년 윤봉길 의사 의거 이후 일본의 탄압과 감시가 옥죄어와 임정은 상하이를 떠나 충칭에 이르는 5000여㎞의 피란길에 오른다.
임정 국무위원들 - 중국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이끌다 1945년 광복을 맞은 조국으로 돌아온 백범 김구 선생(왼쪽 사진). 오른쪽은 백범 선생이 1935년 중국 자싱(嘉興)에서 임시정부 국무위원들과 함께 찍은 사진. 당시 임시정부 국무령이었던 백범은 60세였다. 뒷줄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송병조·김구·조성환·차리석·이시영·이동녕·조완구 선생. /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제공
― 100여 명의 임정 대가족을 광복 때까지 이끈 리더십의 비결은 뭔가.
"남녀노소가 뒤섞인 피란 행렬은 더디고 어지러웠다. 하지만 '백범일지' 어디에도 임정 식구들에 대한 불평은 없다. 오히려 대열에 합류한 이들에게 고마워하고 미처 동행하지 못한 이들에게 미안해한다. 아무리 멀고 힘들고 버거워도 등에서 임정을 내려놓거나 팽개치지 않은 것, 그것이 백범의 리더십이다."
―대한민국은 곳곳에서 남·남(南南) 갈등을 겪고 있는데.
"백범은 자유와 평등이 넘치는 조국을 갈망했다. 이를 위해 독립운동 단체들의 연대를 끊임없이 촉구했고 끝까지 좌·우익을 통합하기 위해 분투했다. '통합'과 '연대'의 백범 정신을 지금 되살려야 한다."
―우리나라 지도층은 백범에게 무엇을 본받아야 할까.
"백범은 임정 국무령과 주석을 맡은 지도자였다. 그런데 그 자리는 백범이 원해서나 바라서 한 게 아니었다. 가장 많이 희생하고 헌신한 사람이 백범이었기에 맡겼을 뿐이다. 특히 우리 정치인들은 백범의 희생과 헌신의 자세를 배워야 한다."
임정 대가족의 피란길… 本紙, 내달초 그들의 발자취 따라간다
1919년 4월 13일 중국 상하이(上海)의 프랑스 조계(租界) 지역에 둥지를 튼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32년 윤봉길 의사의 4·29 의거 이후 상하이를 떠나 피란길에 오른다.
백범이 이끈 피란 행렬에 동행한 이는 100여 명에 이르는 대가족이었다. 그 시절 백범은 일제(日帝)를 피해 중국 도시와 산하를 떠돌아다니는 달팽이 신세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피란길 지도
상하이를 탈출한 임정은 인근 저장성 항저우(杭州)로 이동했다가 1935년부터 자싱(嘉興), 전장(鎭江), 난징(南京)으로 옮겼다. 1937년 일제가 난징을 점령하자 임정 대가족은 다시 이삿짐을 쌌다. 창사(長沙)로 옮겼으나 일본의 공습이 본격화돼 오래 머물 수 없었다. 창사를 떠나 기차로 피란 가는 임정 대가족은 일본군의 공습 때문에 가다 서기를 반복해야 했다.
임정 일행은 남부 광둥성 광저우(廣州)에 도착했으나 일본군이 광저우로 진격함에 따라 다시 함락 하루 전날인 1938년 10월 20일 광저우를 탈출해야 했다. 40일 만에 류저우(柳州)에 안착했다가 몇 차례 더 피란 끝에 1940년 9월 충칭(重慶)에 정착했고 거기서 해방을 맞았다.
피란길은 가혹했다. 동행한 일행 가운데 피란길에 병사(病死)한 사람이 여럿 있었다. 백범의 어머니 곽낙원 여사도 그중 한 명이었다.
본지는 다음 달 초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와 공동으로 임정 대가족의 행적을 따라 광저우~류저우 피란길 답사에 나선다.
[2018-06-29 조선일보] 기사원문 ☞바로가기☜ 클릭
'미디어 속으로 > 신문/방송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06-29 책 소개 기사모음 : 백범의 길/백범 묻다, 김구 답하다] (0) | 2018.06.29 |
---|---|
[2018-06-29 한국경제/책마을] 고문·굶주림에 흔들렸던 백범, 위대한 투사도 보통사람이었다 (0) | 2018.06.29 |
[2018-06-28 동아일보] 김형오 “백범, 치부조차 모두 드러낸 인간적 투사” (0) | 2018.06.28 |
[2018년 05월 서울대동창회신문] 영웅은 죽어서 탄생한다 (0) | 2018.05.23 |
[2018-01-24 동아일보] 김형오 “‘핵 머리에 이고 살 수 없다’는 것 잊지 말아야” (0) | 2018.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