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회의장실록(제도개선등)/해외순방

그녀를 위해서라면 쓰레기장에도 (세계문화유산 모로코 페스 이모저모)

"쓰레기장에 사원을 짓는다면?"


모로코 페스에 있는 '살아있는 세계문화유산' 올드 메디나는
그 풍경마다 시대상을 흥미롭게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지난 편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 세계문화유산에 X칠이 되어 있는 까닭은? )

그 가운데 지난 번에 자세히 다루지 않았던, 특히 기억에 남는 명소 3군데를 선정했습니다
.



내부가 아름다운 '부 이나니아 신학교'





지금 우리가 들어가려고 하는 곳은 '부 이나니아 신학교'입니다.

14세기에 부 이나니아에 의해 세워진 메린 왕조 최대의 신학교로서 무어 양식의 대표적 건축물입니다.
지금은 모스크(사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1층에는 교실, 2층에는 기숙사로 쓰인 작은 방들이 많이 있습니다.

정원에는 마노와 대리석이 깔려있고
벽 전체에 타일 모자이크와 회반죽의 세밀한 조각이 가해져 있어서
섬세하고 화려한 느낌을 줍니다.

섬세하고 정교한 무늬가 담긴 사원의 모습을 좀 더 보시겠습니다.


012345678910111213



'부 이나니아 신학교'에는 한 가지 전해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왕이 한 여성 예술가를 사랑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왕의 사랑을 믿지 못한 일부 사람들이
"왕은 그 여인을 육체적으로 탐닉하려 했을 뿐"이라며 루머를 퍼트리기 시작한 것이엇죠.

이 소식을 들은 왕은 마을의 쓰레기장에다 건물을 짓고 
그녀의 예술솜씨를 뽐내게 했다고 합니다.

그 이후 사람들은 왕의 한 여인에 대한 사랑을 칭송했다고 합니다.
그 이야기를 듣고 보니 문득 타지마할이 떠오르더군요.




비린내가 진동하는 페스의 명소 '태너리'




'과거에 가죽제품은 어떻게 탄생했을까?'

그 질문에 답을 해줄 곳이 있었으니 바로 '태너리'입니다.

태너리은 가죽을 염색하는 작업장이자, 페스 올드 메디나의 명소로
특히 사진작가나 사진매니아들이 한 번쯤 가보고 싶어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곳의 사람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가죽염색법을 고수하고 있는데
여기를 직접 찾으시는 분들은 작업장 특유의 비린 냄새를 잊지 못할 겁니다.

염색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가죽을 벗겨서 석회석 성분이 있는 물에 담근다고 합니다.
그 물에 담그는 이유는 땀구멍이 열려서 염색하기 용이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석회성분은 몸에 좋지 않을 텐데, 염색 재료로 괜찮을까?'란 질문에 대해 
가이드는 석회 활성성분은 하루가 지나면 사라지는데다
보리를 빻은 뒤 그걸 물에 걸러서 푸른 물에 담궈두면 남아있는 석회의 나쁜 성분을 흡수해버린다고 합니다.




그 다음 천염염료로 염색을 하는데  노란색은 샤프란, 빨간색은 석류를 원료로 한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공정에서 자연염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염색장 사람들의 건강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고 가이드는 말하더군요.

그러나 제 생각은 좀 달랐습니다.
뜨거운 햇볕에 그을리고 비린내에 찌들며 
강도 높은 육체적 노동을 하고 있는 일꾼들의 모습이 안쓰럽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좀 더 이곳의 염색에 대해 첨언하자면
양가죽은 약해서 석회물에 담그면 견디질 못한다네요.
그래서 양가죽은 이중으로 덧대어서 제품을 만들거나 안가죽 형태로 쓰인다고 합니다.
이곳에서 염색에 제일 많이 쓰이는 것은 소가죽입니다.

태너리 사진 몇 장을 더 담아봤습니다.


0123456789





나무로 만든 유물이 인상적이었던 바트하 박물관


19세기 말에 왕궁으로 건축된 전통공예박물관인 바트하 박물관은
내부에 무어풍의 정원이 있습니다.




사람 사는 모습은 어디를 가나 비슷한 것 같습니다.
몇몇 목재 물품들을 살펴볼까요?




가죽신을 만들기 위한 나무틀입니다.
나무틀마다 크기가 조금씩 다른 걸 봐선 그 당시에도 사이즈별로 신발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절구통과 빨래판이 보이네요.
빨래판의 생김새는 만국 공통인가요?




의식주는 생활의 기본이죠?
의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직물을 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실을 뽑아야 하겠죠?




모로코를 비롯한 아랍 세계의 건물 내부를 보면 한 가지 공통점이 느껴지더군요.
외부는 단조로운 형태에 그치고 있지만
내부는 굉장히 화려하고 섬세한 무늬로 장식이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가이드의 설명에 따르자면, 건물을 만든 목적이 안에서 생활하기 위한 것이므로
외부를 어떻게 치장하느냐보다 내부 공간을 어떻게 만들어놓느냐가
더 실용적이고 더 중요하다는 것이 아랍인의 철학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모로코, 튀니지 등에 가서
유적지를 가든, 관공서에 가든, 호텔에 있든 건물의 수수한 겉모습 때문에 실망했지만 
건물 내로 들어가서
화려한 내부 장식을 보고는 감탄한 적이 한 두 번이 아닙니다.



페스의 올드 메디나륻 둘러보면서 그런 생각을 해봤습니다.

아랍인들은 우리가 보는 겉모습과 달리

우리가 알지 못했던 무궁무진한 지혜와 예술성이 잠재해 있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