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Story/도서관

[김형오의 도서산책 3 ] 헤로도토스의 <역사>

탁월한 이야기꾼이 흥미진진하게 그려낸 페르시아 전쟁사

 

 

역사/ 헤로도토스/ 천병희 역/ 숲/ 2009년

 

인간들의 행적은 시간이 지나면서 망각되고, 위대하고 놀라운 업적들이 사라지는 것을 막고, 또 서로 전쟁을 하게 된 원인을 밝히는 데 있다.” 헤로도토스가 역사서문에서 밝힌 이 책의 집필 목적이다.

 

내가 이 책을 처음 읽기 시작한 것은 2013년 초였다. 술탄과 황제를 출간(201211)하고, 시간 여유가 생기면서 제일 먼저 꺼내든 책 중의 하나다.

 

키케로가 이 책을 쓴 저자를 역사의 아버지라고 일컬었음을 안 지 60년이 더 지나서 헤로도토스를 완독했으니 그 동안 그에 대해 아는 체해왔던 자신이 부끄러웠다.

 

아마존을 통해 e북으로 구입해둔 지 꽤 되었지만 아무래도 눈길은 천병희 선생이 여러 판본을 대조해가며 옮긴 번역본으로 갔다. 천 선생은 휴드(Carolus Hude)의 두 권으로 된 그리스어본을 기본으로 하고, 그 외 몇 권의 영어본을 참고하고 있지만, 읽을수록 단순한 번역본이 아니라 새로운 창작물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싶다(이 점은 앞서 소개한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도 마찬가지이며, 앞으로 소개할 선생이 번역한 다른 책들도 모두 높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

 

번역자는 헤로도토스를 최초의 역사가이자 최초의 이야기꾼이라 했다. 그만큼 그의 작품은 문체가 유려하고 소재가 다양해서 흥미진진하다. 그러나 역사는 독파하기가 쉽지 않다. 우선 994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 탓이다. 저자와 번역자의 각주(푸트노트)도 만만찮다. 게다가 전문 이야기꾼답게 이야기의 곁가지가 많아 현대의 성급한 독자라면 중도 포기자가 많을 성싶다. 그러나 시간적 여유가 있고 성격이 느긋한 편이라면 점차 인류 최초 역사가가 심혈을 기울인 고전에 빨려들 것이다. 여행이 어려웠던 시기인데도 그는 수많은 지역을 방문해 직접 보고 듣고 느낀 것을 토대로 책을 썼다. 그래서 현장감과 진실성이 살아 있다. 그의 집필 태도인 들은 대로 전할 의무때문인 듯하다. 그러면서도 들은 것을 다 믿을 의무는 없다며 독자의 마음을 편케 해준다. 박물학자다운 전지적 지식을 뽐내고 있다. 그 지역과 국가의 지리학·민속학·인종학·역사학·군사학 등 그가 아는 박물학적 지식이 찬연하고 광활하게 펼쳐진다.

나로서는 믿어지지 않지만”, “이것이 더 믿음이 가지만, 믿음이 덜 가는 얘기도 소개하겠다.”, “서로 상반된 얘기도 전해지고 있다.” 등등 탁월한 이야기꾼의 천부적 재담이 유감없이 발휘된다.

 

그러나 이 책을 찾는 많은 이들의 진정한 이유는 페르시아 전쟁 때문일 것이다. 번역자는 페르시아 전쟁사를 하나의 통일체로 빚어낸 것을 그의 전무후무한 업적으로 높이 평가한다. 그렇다, 그가 아니었다면 후세 인류는 페르시아의 그리스 침략 전쟁을 체계적입체적종합적으로 전달할 수도 이해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그리스의 유명 비극·희극 작가와 학자들의 구체적단편적 저작물과 내용들도 역사와 교감할 때 이해도가 증대될 것이다. 페르시아 측 사정도 페르시아의 문헌이 남아 있지 않으므로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의거할 수밖에 없는 부분이 많다. 다리우스 대왕의 성격, 크세르크세스의 꿈 이야기 등도 모두 역사에 기록된 것들이다.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모두 9권으로 되어 있고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 페르시아 전쟁의 3대전이라 할 수 있는 마라톤 전투(6103~117), 영화 <300>으로 유명한 테르모필라이 전투(7202~239), 그리고 마지막 결전이라 할 살라미스 해전(840~125)도 이 책을 통해 세상에 전해진다. 그러나 영국의 전략가이며 사학자였던 풀러(J. F. C. Fuller)유럽이라는 아기가 탄생하면서 낸 소리였다고 한 마라톤 전투는 4페이지에 불과해 큰 그림만 잡을 수 있다. 마라톤 전투는 페르시아인이라는 말만 들어도 주눅이 들었던 그리스인이 페르시아군을 향해 싸우려 돌격한 최초의전투였다(6113). 이 전투에서 페르시아 측은 6400, 아테네 측은 오직 192명만 전사하는 대승을 거두었지만 전투 상황의 구체적 설명이 없어 아쉽다(117). 그리고 우리가 아는 마라톤 전투의 승전보를 전하고 마지막 숨을 거둔 용사의 이야기는 없다(스파르타에 전령으로 달려간 필립피데스 이야기가 후대에 각색됐을 듯). 다만 함선으로 퇴각한 페르시아 군대가 아테네에 먼저 입성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전속으로 아테네로 달려옴으로써 뒤늦게 온 페르시아군이 상륙하지 못하고 철수하고 만다(116).

 

헤로도토스는 테르모필라이 전투를 매우 자세하고 생동감 있게 다루고 있다. 스파르타 왕 레오니다스의 영웅적 행동과 양군의 처절한 전투, 지형과 지세, 최후의 300인의 용전분투 등은 역사를 통틀어 압권이다.

지나가는 나그네여, 가서 스파르타인에게 전해주오. 우리는 나라의 명령을 이행하고 이곳에 누웠다고.”(7228)

300 용사는 이렇게 전사했다(헤로도토스는 그 300명 용사의 이름을 다 알고 있다고 단언했지만 쓰지는 않았다).

 

뒷이야기 하나.

스파르타군 300명 중 마침 두 사람이 눈병이 났다. 열외가 될 수 있는데도 한 사람은 기어코 전투에 참가하여 목숨을 버렸고, 한 사람은 스파르타에 살아 돌아갔으나 아무도 그에게 말을 건네지 않고 불씨도 빌려주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얻은 스파르타에서 가장 치욕적인 별명인 겁쟁이를 그 다음 전투(플라타이아 전)에서 공을 세우기까지 달고 살아야 했다. 또 하나, 300인의 사절로 파견돼 전투 현장에 없었던 사람은 고향에 돌아와 똑같은 불명예를 당하자 목매어 자살했다(229~232).

 

레오니다스 왕은 죽음의 전사” 300명을 슬하에 아들이 있는 자들 중에서 선발했다(205). 레오니다스도 아들이 있었다. 전쟁에 임하는 그리스인의 자세를 볼 수 있다.

 

그리스 세계의 삶은 전쟁의 연속이었다. 그리스인들은 자유를 위해 싸웠다는 것이 이 책에서 시종 일관된 헤로도토스의 태도다. 자유냐 예속이냐, 민주주의 대 전제주의, 탁월성을 발휘하는 개인 대 이름 없는 군중 집합체를 그는 수시로 수없이 대비시킨다.

 

민중이 지배하면 국가에 부패가 만연할 수밖에 없는데, 부패한 자들은 서로 반목하기보다는 형제가 되기 십상이오. 그들은 국가를 약탈하기로 결탁하기 때문이오. 그런 행위는 누군가 민중의 지도자로 부상하여 그들의 부패 행각에 종지부를 찍을 때까지 계속되오.”(382)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대왕의 말이다. 군주제 옹호를 위한 것이긴 하지만 오늘 우리 실정을 반영하는 듯하다.

 

이 책을 좀 늦게 읽어 아쉬운 점 한두 가지.

 

내 책 술탄과 황제에서 술탄군의 해군사령부가 있던 곳은 치프테 슈툰(그리스어로 디플로키온, 영어 Double Columns ; 이중열주)’이라 불렀는데, 이곳이 바로 다리우스 페르시아군의 1차 침략 때 다리를 놓고 사령부가 진주했던 곳이다. 두개의 흰 대리석 기둥을 세우고 거기에 아시리아 문자와 그리스 문자로 참전한 모든 민족의 이름을 새겨 놓았다(487). 다리우스 이후 2천 년의 세월이 흘렀어도(1453), 전략요충지로 여전히 쓰였으니 역사는 돌고 도는 법인가.

 

또 하나, 내 책에도 소개되었지만 칼케돈 맞은편의 비잔티온을 뒤늦게 발견하고 정착한 메가라인들을 보고 사람들이 칼케돈인들은 눈이 멀었다고 한 것이 역사가 출전이었음을 책을 쓸 때는 몰랐다(4144장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