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오가 만난 세상/김형오의 문화 카페

통영의 하늘과 바다를 사랑한 사람

통영의 하늘과 바다를 사랑한 사람

이영미술관에서 전혁림을 만나다 3


김형오


도자기 옆에 있는 조형물도 눈길을 끈다. 목어(木魚) 모양 그네? 김이환 관장 부인 신영숙 여사가 사찰의 대들보와 기둥을 그대로 가져와 소재로 쓴 일종의 설치 미술이다. 오래 된 나무라야 변질․변색․변형을 막을 수 있다고 한다. 대들보 밑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는 목어는 그네 타기가 아니라 종을 치기 위한 것. 배치가 절묘하다. 뒤편의 도자기가 마치 범종처럼 보인다.


전혁림 화백 하면 누드화를 빼놓을 수 없다. 청년기는 물론 아흔 넘어서도 여체를 즐겨 캔버스에 옮겼다. 이번 회고전(2012년 2월 28일까지 연장 전시 중)에서도 15X19cm 크기의 목판 85조각에 저마다 다른 포즈를 하고 있는 누드화를 아교로 타일처럼 벽에 붙여 놓은 작품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앞서 <만다라>와는 달리 테두리가 튀어나오도록 하지 않고 사각 평면이라서 그림 그리기는 한결 수월했을 듯. 무식한 내가 "젊었을 때 누드화 많이도 그렸네요"라고 했더니 90 넘어 그린 최신 누드작이란다.(2007년부터 2008년까지 이태 동안 작업) 여기서 한 가지 팁. 이 개개의 유화 작품들엔 전 화백의 영문 사인 ‘JEON’이 들어가 있다. 2004년까지는 ‘CHUN’을 쓰다가 그 이후로 바꾸었다고 한다.

▲ 이 작품에 얽힌 재미난 에피소드 하나. 눈 밝은 사람이라면 금방 알아보았겠지만 이 누드의 맨 오른쪽은 세 개의 목판으로 구성돼 있는 반면 왼쪽은 두 개여서 비대칭을 이룬다. ‘Balance of Unbalance’를 추구한 걸까? 노! 사실은 목판이 하나 모자라서 그런 거란다. 메인 부분에서 하나를 빼면 이가 빠진 듯 균형이 깨질 테고, 그래서 맨 왼쪽을 두 조각으로 배치했다는 얘기. 가만, 그러고 보니 오른쪽은 세로 그림인 반면 왼쪽은 가로 그림이다. 구도가 전혀 어색해 보이지 않는 건 아마도 그래서인 듯.


전 화백은 고향 통영의 하늘과 바다를 누구보다도 사랑했다. 회고전에 걸린 2005년 작품 <통영항>에는 작가의 절절한 통영 사랑이 화폭 가득 묻어나 있다. 1000호짜리(600X300cm) 대작이다. 이만한 크기면 보통 여러 개의 캔버스를 이어 붙여 작업하기 마련인데 전 화백 작품에는 이음매가 없다. 독일에서 특별히 주문 제작한 캔버스이기 때문이다. 프랑스에서 수입한 유화 물감을 썼는데 작품 한 점 당 물감 값만도 2000만 원이나 들었단다.


청와대 인왕홀에도 전혁림 화백이 그린 1000호짜리 <통영항>이 걸려 있다. 이 작품은 가로 길이가 좀 더 길어 7m라고 한다. 노무현 대통령의 부탁을 받고 그렸다는데, 그래선지 미륵산이 크게 부각돼 있다. 노 대통령이 미륵산 용화사에서 사법고시 공부를 했기 때문이다.

<한려수도 300리>도 1000호 대형 작품이다. 이 그림의 탄생 배경 또한 의미심장하다. 전 화백은 1983년 <통영항>이란 100호 작품을 그려 통영시청에 걸었다. 그러나 그 정도 크기로는 뭔가 부족하다 싶었다. 살아 있을 적에 통영항과 한려수도를 좀더 넓은 캔버스에 제대로 담아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기존의 <통영항>을 참고 삼아 필생의 역작에 매달렸다. 자신의 얼과 혼을 모두 쏟아부었다. 이 얼마나 수려하면서도 섬세하고 또한 다이내믹한가. 이렇게 멋진 ‘한려수도 조감도’를 그려낼 사람은 전 화백 말고는 없으리라. 헬리콥터 위에서 내려다본 듯 생생한 풍경이다. 1967년에 개통된 운하교가 통영시와 미륵도(산양읍)를 가로지르고, 통영항에는 배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다. 어릴 적 내가 통영에만 가면 꼭 찾곤 했던 남망산에서 바라보이는 섬과 화가의 눈에만 역력히 각인된 섬들이 그 특색만을 살린 채 화려하게 경연을 펼친다. 남해, 삼천포, 연화도, 욕지도, 한산도, 거제도, 가덕도 등 이름만 들어도 설레는 여러 섬들이 코발트블루의 바다 위에 떠 있다. 통영수산금융조합 서기로 근무하며 그 일대 섬이란 섬은 모두 섭렵한 전혁림 선생이 섬의 특징을 뽑아냈기에 눈 밝은 사람이라면 금방 그 섬들을 찾아낼 수 있다.

▲ 한려수도 300리

한려수도 300리 부분(좌)

한려수도 300리 부분(중)

한려수도 300리 부분(우)


 

미술의 전혁림을 비롯해 통영은 예술 분야에서 불세출의 거장들을 많이 배출했다. 음악의 윤이상, 문학의 유치진․유치환․김춘수․이영도.박경리 등이 바로 그들이다.

내 어릴 때 통영에서 본 가장 크고 웅장한 건축물은 세병관(洗兵館)이다. 그 일곱 기둥 사이로 통영항이 전개된다. 자연 만물이 살아 숨쉬고 춤추고 노래하고 웃고 뛰어논다. 햇살과 바람, 섬과 산과 하늘, 그리고 배들이 노닌다. 

추상화의 절정인 말기 작 <세병관 일곱 기둥 사이로 본 통영항>에는 통영이 낳은 걸출한 예술인들의 창작혼이 상징적으로 담겨 있다. 김춘수의 꽃, 유치환의 바다, 윤이상의 오선지, 이영도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가 히노끼(편백)나무 화판에 스며들어 있다. 영화에 빗대자면 ‘오마주’ 같은 작품이다. 일곱 개의 기둥 사이로 펼쳐진 통영항이라. 참 발상 자체가 담대하고 파격적이다. 두 개의 기둥 사이라면 몰라도 누가 감히 일곱 개의 기둥 사이로 보는 통영항을 상상이나 할 수 있겠는가. 현실적인 눈으로는 동시에 그런 풍경을 보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오로지 전 화백 같은 거장의 심미안만이 볼 수 있는 영역이다. 한참을 들여다보노라면 ‘숨은 그림 찾기’처럼 수많은 이야기들이 돌출한다. 몇 권의 책에 담길 내용들을 1000호짜리 캔버스에 압축하고 집약했다. 숨은 에피소드 하나. 맨 오른쪽 반달 모양 공간에도 무언가를 그려 넣으려 했는데 끝내 못 채우고 작가는 세상을 떠났다. 나는 그래서 오히려 이 작품이 더욱 인상 깊이 남는다. 저 빈 공간을 보고 있노라면 물감으로 얼룩진 작업복을 입고 치열하게 붓을 놀리고 있는 생전의 노화백 모습이 떠올라 가슴이 아련해지곤 한다.

▲ 세병관 기둥 사이로 본 통영항

세병관 기둥 사이로 본 통영항 부분(좌)

세병관 기둥 사이로 본 통영항 부분(중)

세병관 기둥 사이로 본 통영항 부분(우)



2010년 7월 12일, 전혁림 화백 49재를 맞아 창원 MBC는 특집 프로그램을 내보냈다. <바다에 지다>라는 제목의 이 다큐멘터리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주관한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영미술관은 몇 달 전 방영된 KBS 주말 드라마 <사랑을 믿어요>의 세트장으로 사용되었다. 미술관에 전시된 전혁림 화백의 작품들이 텔레비전 화면에 자주 비친 건 당연한 사실. 예술은 역시 인생보다 훨씬 더 생명력이 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