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중고 동창회보 198호] [용마열전] 세상을 빛낸 동문들 " 김형오(20회) 전 국회의장" ‘비움’과 ‘내려놓음’이 몸에 밴 청아한 선비형 정치인 5선 의원, 국회의장 마친 뒤 아름다운 퇴장 약자에게도 따뜻한 시선…이제 작가의 길로 타고난 약골체질 철저한 자기관리로 극복 회심의 역작 서점가 돌풍 일으켜 김형오 동문의 마포 연구실에 걸린 ‘실사구시(實事求是)’ 표어 액자. 김 동문이 중국 텐진(天津)대학 명예박사 학위 수여 때 받았던 기념 액자다. 이 액자엔 사연이 있다. 김 동문의 국회의장 시절 중국 후진타오(胡錦濤) 주석 초청으로 방중 면담이 계획됐다가 후 주석의 급한 일정 때문에 약속이 펑크났다. 얼마 후 외교라인을 통해 죄송하다는 사과문와 함께 다시 초청을 하고 싶다는 전갈이 왔다. 김 동문은 “안간다. 박사학위나 주면 몰라도”라며 짐짓 거절했다. 당시만 해도 한국이 중국에 큰소리 칠수 .. 더보기 지식에서 지혜로, ‘나’에서 ‘우리’로… 책 읽기 좋은 때다. 예로부터 겨울, 밤, 비오는 날을 ‘삼여(三餘)’라 하여 독서하기 좋은 때라 하였다. 농사짓던 옛날이야기이긴 하지만 여전히 지금도 유효하다. 홀로 있는 시간이라야 책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일상에 바쁜 현대인에게 삼여는 귀한 시간이다. 한국인의 독서 시간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뒤진다. 특히 우리는 스마트폰에 너무 매여 책 읽을 시간이 없는 것 같다. 수시로 이메일과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고, SNS에 참여하고, 유튜브와 넷플릭스를 시청하고, 게임과 인터넷 서핑을 한다. 독서와 성찰의 시간은 짧고,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관계 맺거나 입장을 표현하는 시간은 긴 셈이다. 왜 그런가. 트렌드, 곧 집단적 흐름이나 방향에 민감한 문화가 한몫을 하는 것 같다. 우리는 여론조사를 중요시하고 늘 어디가.. 더보기 [2019-11-08 한겨레신문] 대결뿐인 정치…인사풀 넓히고 국회와 소통 터야 문재인 정부 ‘반환점’ 정치분야 김형오 “전쟁터로 변한 정치판, 통합의 리더십 필요” 문재인 대통령은 전반기 내내 야당과 불화했다. 문 대통령이 제안한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가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문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2017년 5월19일 5당 신임 원내대표들과 만나 여야정 국정상설 협의체 구성을 제안해 동의를 받았다. 하지만 협의체는 지난해 11월 회의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문 대통령이 개헌 등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야당과 멀어졌고, 적폐청산 수사는 그 정당성과 별개로 대야 관계 악화를 불렀다. 패스트트랙은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장외로 뛰쳐나갔다. 전문가들은 청와대가 국회를 협치의 대상으로 공들여 대하기보다 촛불 민심이 반영되지 않은 마지막 남은 ‘적폐’로 보는.. 더보기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7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