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24 아나톨리아 오디세이 심포지엄 기조 발표문] "역사의 새벽을 깨운 메흐메드 2세" [2017-07-24] 아나톨리아 오디세이 심포지엄 기조 발표문 “역사의 새벽을 깨운 메흐메드 2세”-『술탄과 황제』를 통해 본 역사성과 지도력- 김형오 (전 국회의장, 현 부산대 석좌교수) 한국과 터키는 1957년 국교를 수립했습니다. 그리고 오늘 이곳 터키 수도 앙카라에서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심포지엄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 뜻깊은 행사에 기조 발표자로 초대를 받아 개인적으로 뿌듯하고 감사한 마음입니다. (앙카라=연합뉴스) 정하종 기자 =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24일 오후(현지시간) 터키 앙카라에서 열린 한ㆍ터키 수교 60주년 기념 학술ㆍ문화 심포지움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17.7.24 수교를 한 해도, 60년이 지난 금년도 한국은 닭의 해입니다. 오스만 터키의 전장(戰場) 군영에서 새벽.. 더보기 [2017-07-24 아나톨리아 오디세이 심포지엄 축사] "자유와 역사적 연대를 넘어서" [아나톨리아 오디세이 심포지엄: 축사] “자유와 역사적 연대를 넘어서” 김형오 (전 국회의장) 동족상잔의 6.25 전쟁이 발발한 지 7년이 지나고 한국과 터키는 국교를 수립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꼭 60년 전이었습니다. 이틀 후인 7월27일은 지긋지긋한 전쟁을 잠시 중지하기로 합의한 휴전협정을 맺은 지 64년이 되는 날입니다. 정식 수교국도 아니며, 터키의 국민과 젊은이들이 들어보지도 못하였던 알지도 못하는 나라와 사람들을 도우려, 함께 싸우고 피 흘리며 목숨을 걸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터키로서도 국내외적으로 여러 가지 고려 요소가 있었겠지만 나는 여기서 두 가지만 말하고 싶습니다. 첫째는 ‘자유’입니다. 모든 면에서 연약하기 짝이 없는 신생국 한국은 이제 그 국민이 그나마 누려왔던 자유마저 잃게 될 .. 더보기 [독립운동가를 찾아서/광복군 박찬규 지사]“일본군 무기를 밀반출, 광복군에 넘기려 한 18세 애국 소년”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회장직을 맡고 나서 가능하면 좀 더 자주 아직 살아 계신 애국지사를 방문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이제 그분들 얼굴을 뵐 날도 그리 많이 남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박찬규 선생은 광복군 동지회의 가장 막내 회원이며, 인천시의 유일한 생존 애국지사이십니다. [독립운동가를 찾아서/광복군 박찬규 지사] “일본군 무기를 밀반출, 광복군에 넘기려 한 18세 애국 소년” 7월 18일 오후, 독립운동가 박찬규 지사(90세) 댁을 찾았다. 강화도 민통선 건너 소담한 집에 사모님(82세)과 두 내외가 살고 계셨다.국가보훈처 자료와 오늘 들은 얘기를 종합해 일단 애국지사 박찬규 선생의 삶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1928년 충북 청주에서 태어난 그는 중국 북경에 주둔해 있던 일본군 부대의 군속으로 근무하며.. 더보기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7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