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형오 전 국회의장 ‘공약대상’ 수상 김형오 전 국회의장 ‘공약대상’ 수상 “귀 의원께 우리 국회의정모니터단의 엄정한 확인 결과, 제18대 국회 4년 임기 동안 국민께 약속했던 공약의 이행 성적이 우수하여 이 상을 드립니다.” 2월 27일 오후, 서울 서초구 반포동 팔레스호텔에서 열린 제18대 국회의원 공약대상 시상식에서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그랑프리 격인 ‘공약대상(The Grand Agrement Award)’을 수상했다. 이 상은 메니페스토 운동을 이끌어온 21년 전통의 시민단체인 법률소비자연맹(김대인 총재)이 전체 평가 대상 의원 220명(245명의 지역구 의원 중 의원직을 상실하거나 사퇴한 의원 25명 제외)을 대상으로 지난 4년간의 공약 이행 및 달성 성적을 조사하고 계량화해 수상자를 선정했다. 연맹 산하 기구인 국회의정모니터단이.. 더보기
“달집에선 달이 활활, 가슴에선 희망이 활활” 정월대보름, 영도에서 달집을 태우다 “달집에선 달이 활활, 가슴에선 희망이 활활” 김형오 지난 2월 6일, 제14회 정월대보름 영도 달맞이 축제가 열렸다. 하이라이트는 단연 달집태우기. 한국해양대학교 제2캠퍼스 부지에서 점화된 달집은 기세 좋게 타오르며 주민들 가슴을 희망으로 물들였다. 달집태우기는 정월대보름을 맞아 생솔가지나 나뭇더미를 쌓아 ‘달집’을 짓고 보름달이 떠오르면 불을 놓아 제액초복(除厄招福)을 염원하던 세시풍속이다. 달은 예로부터 풍요와 생명력의 상징으로서 농경 및 어로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요즘 이란 퓨전 사극이 국민 드라마로 떠올랐다. 달집태우기를 하던 날은 비록 하늘이 흐려 달을 볼 수 없었지만, 우리가 만든 달집은 이미 그 안에 달을 품고 있었다. 활활 타는 달집과 함께 우리.. 더보기
현재도 진행형인 역사의 아이러니 현재도 진행형인 역사의 아이러니 경남 사천, 세종대왕과 단종의 태실지에서 김형오 설 연휴 마지막 날, 경남 사천시 곤명면 은사리에 있는 세종대왕 태실지(胎室祉)와 단종 태실지를 찾았다. 한파가 기승을 부렸지만 진작부터 가보고 싶었던 곳이라서 고향 고성 성묫길에 일부러 짬을 냈다. 예로부터 태(胎)는 태아의 생명줄이라 하여 함부로 취급하지 않았다. 특히 조선 왕실은 태를 왕자나 공주의 몸처럼 귀하게 여겨 태실도감(胎室都監)을 설치, 태를 봉안할 명당을 물색한 다음 안태사(安胎使)를 보내 태실(胎室)을 조성한 뒤 소중하게 모셨다. 태실이란 태를 봉안하고 표석을 세운 곳. 깨끗이 씻은 태는 작고 홀쭉한 항아리(內壺)에 봉안하고 기름종이와 파란 명주로 봉한 뒤 붉은색 끈으로 밀봉한 다음 더 큰 항아리(外壺)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