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선택을 방지할 방법은 없습니다. 그러나 민주당 지지자가 국민의힘 후보를 결정하게 해서는 안됩니다. 나는 2007년 이명박 박근혜 대선 경선 때 당의 원내대표로서, 작년 총선 때 공관위원장으로서 당의 경선에 직간접 간여했기에 망설임 끝에 한말씀 드리고자 한다. 지금 경선이 자칫하면 2007년 못지않게 치열한 양상으로 전개될 우려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걱정한다. 이 글은 후보에 따라 선호도가 갈리겠지만 나는 특정 후보의 유불리를 위해서가 아니라 바른 길, 상식의 입장에서 간단히 피력한다. 한마디로 역선택을 방지할 어떤 완벽한 장치는 없다. 여론조사 기법상, 그리고 그것이 갖는 제한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다. 이는 통계학자, 여론조사 전문가들의 상식이다. 또한 과거 사례를 오늘날 무턱대고 적용할 수는 없다. 정치 상황은 수시로 바뀌기 때문이다. 그때는 역선택 문제가 이처럼 이슈가 되지는 않았다. 이것이 과거.. 더보기
[2021-08-05 서울경제] 文정부, 정책은 실험·정치는 퇴화 “文정부, 정책은 실험·정치는 퇴화…‘권력 5년 주기설’로 당겨질 수도” [청론직설] ◆ 김형오 전 국회의장 지난 4년 극단적 편가르기·포퓰리즘으로 국론분열 증폭 탈원전은 ‘바보 같은 정책’으로 세계의 웃음거리 될 것 野, 정권 교체 이루려면 견제·선거 중립 감시 기능 중요 대선 최대 화두는 공정…언론재갈법, 세계적 유례 없어 20대 대선이 7개월여 앞으로 다가왔다. 일자리 쇼크는 계속되고 집값·전셋값과 물가는 고공 행진을 하고 있다. 게다가 코로나19까지 수그러들지 않고 있어 자영업자 등 서민들은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 그러나 여당 대선 주자들은 위기 극복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나랏돈을 퍼주는 포퓰리즘 공약 경쟁에만 매몰돼 있다. 난국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고자 정계 원로인 김형오(74) 전 국회.. 더보기
[2020-07-15 문화일보] 이준석 리스크에도 '보수 리더십 체인지' [김형오의 Deep Read] 이준석 리스크에도 ‘보수 리더십 체인지’ 시동…정권·시대교체 이뤄야 완성 ■ 野 ‘이준석 체제’ 평가와 과제 공정·경쟁 화두로 2030 관심 얻으며 ‘이준석 현상’ 만들어… 조율되지 않은 언행 따른 ‘리스크’ 부담도 취임 후 변화의 한 달, 대선까지 격랑의 여덟 달… 정권교체 위한 대권주자 영입·야권통합·경선관리 핵심과제 순항하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취임 한 달여 만에 역풍을 맞았다. 일부에서는 마치 예상이라도 한 듯 ‘리스크’를 우려하고 있고, 또 일부에서는 신선한 행보에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을까 안타까움을 표하고 있다. 확실한 것은 ‘이준석 체제’의 성공과 실패 여부는 바로 당 지지도와 직결되며 나아가 정권교체 여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패기와 개인기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