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굿모닝 프레지던트, 굿바이 프레지던트 굿모닝 프레지던트, 굿바이 프레지던트 ▲ 출처 - 네이버 "이 영화는 무슨 맛일까?" 최근 많은 영화들이 향신료가 가득해서 강하고 진한 맛들이 나는데 비해 영화 '굿모닝 프레지던트'는 맑은 국 같이 담백하고 소소한 느낌이 듭니다. 뭔가 화끈한 느낌이나 짜릿한 반전도 없습니다. 그런 강렬한 맛이 없기에 조금 아쉬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맑아서 목넘김이 좋고 자극적이지 않아 편한 영화임에 틀림 없습니다. 심지어 소화하면서도 거북하지 않고 오히려 잘 먹었다 싶은 느낌까지 주죠. 거기에 대통령을 소재로, 그들도 하나의 인간일 수 밖에 없는 모습을 그려내어 정치인에 대한 거부감을 걷어내는데 성공합니다. 소위 '벌거벗은 임금님'을 만든 것이죠. 그런 걸 보면 장진은 지옥에서라도 "훈훈함", "흐뭇함"을 만들어낼 .. 더보기
효녀심청 이정미 양 사경을 헤매는 아버지에게 자신의 간 절반 이상을 이식한 현대판 '효녀심청' 이정미 양에게 김형오 국회의장은 지난 9월 격려서신을 보낸바 있습니다. '이 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으로 기억될 것'이라는 격려와 '정미양 아버님의 쾌유를 기원한다'라는 사연을 담고 있었죠. 이 편지를 받은 이정미양이 김형오 국회의장님께 감사의 편지를 보내왔습니다. 정미양은 답장에서 '병원에서 저희 부녀와 같이 자녀분이 부모님께 장기를 드린 분이 많은데 저만 이렇게 힘을 받아도 되는지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라며 타인에 대한 깊은 사랑과 배려를 보여줌으로써, 다시 한번 많은 이들을 감동시키는군요. 정미양의 이러한 착하고 아름다운 마음가짐은 주위를 따뜻하게 하고, 나아가 온 사회를 밝히는 환한 등대가 될 것 같습니.. 더보기
‘공짜’ 좋아하던 내가 ‘카드 노예’ 된 사연. 공짜[空-]:명사 힘이나 돈을 들이지 않고 거저 얻은 물건. ‘공짜라면 양잿물도 삼킨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실제로 양잿물을 마시지는 않겠지만 그만큼 사람들은 ‘공짜’를 좋아한다는 뜻이겠죠. 이러한 사람들의 심리를 100% 이용해 카드 회사에서 나온 제도가, 바로 선포인트(선세이브) 제도입니다. 공짜 폰부터 공짜 넷북, 공짜 네비게이션까지. 최근 인터넷은 물론 전자제품 상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선포인트(선세이브) 카드 광고. 앞으로 생길 카드 포인트로 물건의 전액, 혹은 일부를 결제, 부담 없이 물건을 가져갈 수 있는 선포인트(선세이브) 제도는 당장 현금이 필요 없고 어차피 내가 사용할 카드의 포인트로 결제되니, 언뜻 ‘공짜’처럼 보이는데요. 하지만 여기서 잠깐! 이것들이 정말 ‘공짜’일까요? 선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