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디어 속으로

[내일신문] 술탄과 황제, 빙의하길 바랐던 국회의장 [내일신문] 2112-11-28 기사 ☞ 바로가기 클릭 김형오 전 의장 '술탄과 황제' 책 펴내 비잔틴 최후 54일 일기형식 완벽복원 김형오(사진)란 이름은 우리에게 정치인으로 낯익다. 5선 국회의원을 지냈고 국회의장까지 역임했다. "혜택 많이 받고 운 좋았던 사람"이라며 스스로를 낮추지만 몇 안되는 '성공한 정치인'으로 꼽힌다. 18대 국회를 끝으로 여의도를 떠난 그가 반년만에 흥미진진한 역사책을 들고 돌아왔다. 주제도 이채롭다. 500년도 훨씬 더 이전에 벌어진 비잔틴제국 최후의 54일을 가공의 일기와 비방록을 통해 생생하게 복원해낸 것이다. 이 책의 시작은 비잔틴제국에 대한 '역사책스러운' 설명이다. 지루할 뻔했다. 하지만 불과 몇 쪽만 참고 넘기면 결코 '역사책스럽지 않은' 흥미진진하면서 한치 앞.. 더보기
[파이낸셜 뉴스] 책을 읽읍시다 - 술탄과 황제/前 국회의장이 쓴 비잔틴 제국 몰락의 날 [파이낸셜 뉴스]2012-11-28 기사 ☞ 바로가기 클릭 "천년보다도 더 긴 하루였다." 1453년 5월 29일, 비잔틴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 함락의 날을 그는 이런 표현으로 시작했다. "새벽 2시. 날씨는 맑고 바람은 신선했다. 서편 하늘로 달이 흘러가고, 유성이 빗금을 그으며 화살처럼 떨어져 내렸다." "드디어 대포 소리와 군악대 악기소리, 8만 대군이 한꺼번에 내지르는 우렁찬 함성이 새벽공기를 갈랐다." 8만대군을 이끈 이는 오스만제국의 스물한 살 패기만만한 청년 술탄 메흐메드 2세. 그는 성벽을 향해 "총공격"을 외치며 전진, 또 전진하고 있었다. "이들이 내지르는 엄청난 함성과 기괴한 복장, 다양한 무기, 쏜살 같은 움직임은 집단적 공포감을 조성하기에 충분했다"고 저자는 기록한다. 술탄이 .. 더보기
[뉴스1] 새책 - 콘스탄티노플 최후를 그린 대서사식 '술탄과 황제' [뉴스1]2012-11-30 기사 ☞ 바로가기 클릭 (서울=뉴스1) 정이나 기자= 세기의 정복자 오스만 튀르크의 술탄 메흐메드 2세, 이에 맞서는 비잔틴 제국 최후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 세계 역사의 흐름을 뒤바꾼 그날, 그리고 54일간의 격전의 기록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지만, 나는 패자의 기록도 함께 쓰려 했다. 떨리는 마음으로 술탄과 황제, 그들의 내면으로 들어가 그들과의 진지한 대화를 시도했다. 때로는 빙의 현상이라도 일어나주기를 소망했다” 한 아마추어 사학자가 땀과 피를 흘리며 찾아낸 진실과 역사 속 전쟁으로 독자를 유인한다. 저자는 놀랍게도 김형오 전 국회의장. 바쁜 의정생활 속에서도 그는 4년간 5차례에 걸쳐 이스탄불을 방문, 방대한 자료조사와 유적지 답사,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60.. 더보기
[연합뉴스] 김형오 "정치인 아닌 역사책 작가로 평가해주세요" 바로가기 ☞ 김형오 "정치인 아닌 역사책 작가로 평가해주세요" 전 국회의장이 역사책 '술탄과 황제' 펴내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책이 재미없거나 사실이 아닌 내용이 있으면 책임지겠습니다. 정치인 프리미엄 없이 책으로만 평가받고 싶습니다." 전직 국회의장이 역사책을 펴냈다. 기자, 대통령 정무비서관, 한나라당 원내대표 등을 거쳐 입법부 수장을 지낸 김형오(65) 전 국회의장이다. 책 제목은 '술탄과 황제'(21세기북스). 1천 년 이상 세계의 중심이었던 비잔틴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을 놓고 세기의 대결을 펼쳤던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드 2세와 비잔틴 제국 최후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의 이야기다. 서울대 외교학과를 나와 경력 대부분을 정계에서 보낸 김 전 의장의 꿈은 역사학도였다. 그는.. 더보기
[조선일보]술탄의 배는 산을 넘어, 비잔틴에 멸망을 고했다 2012-11-24 [조선일보]기사 ☞ 바로가기 클릭 로마제국의 마지막 동양이 서양을 누른 문명사적 대사건, 콘스탄티노플 전투 가상의 '황제 일기'와 '술탄의 비망록' 통해 둘의 리더십 대결 담아 『술탄과 황제』김형오 지음|21세기북스|464쪽|2만5000원 "원군은 아직 오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 어딘가 오고 있거나 출발 준비를 서두르고 있을 것이다. 그렇게 믿자"(비잔틴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 "그 도시를 나에게 달라. 그러면 성 밖 다른 도시를 그대에게 주겠노라"(오스만 튀르크 술탄 메흐메드2세). 1400년간 지속한 로마제국이 종말을 고한 1453년 5월 29일의 콘스탄티노플 전투를 역사적 사실과 소설 그리고 이스탄불 방문기 등 3부로 정리했다. 저자는 김형오 전 국회의장. 그는 4년간 5차.. 더보기
[중앙일보] 비잔틴의 최후, 그 속에서 리더십을 물었다 [중앙일보] 2012-12-05 기사 ☞ 바로가기 클릭 『술탄과 황제』 펴낸 김형오 전 국회의장 왼쪽은 유일하게 남은 것으로 추정되는 비잔틴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의 초상. 15세기 양피지에 그린 황제 9명의 수채화 중 일부다(이탈리아 모데나의 에스텐세 장서고 소장). 오른쪽은 이슬람 술탄 메흐메드 2세 초상. 베네치아 화파를 대표하는 궁정화가 젠틸레 벨리니가 1480년 그렸다(70X52㎝. 영국 런던 내셔널갤러리 소장). [사진 21세기북스] “이제 정치인이 아니라 작가로 평가받고 싶습니다.” 5선 의원을 지낸 김형오(65) 전 국회의장이 1453년 비잔틴 제국의 최후를 재조명한 『술탄과 황제』(21세기북스)를 펴냈다. 젊은 시절 신문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해 30여 년간의 공무원과 정치인 경력을 마감.. 더보기
[동아일보]비잔틴제국 운명의 54일, 두 문명 두 영웅의 눈으로 읽다 [동아일보]2012-11-24기사 ☞ 바로가기 클릭 ◇술탄과 황제/김형오 지음/464쪽·2만5000원·21세기북스 유럽과 아시아 대륙이 각각 촉수를 뻗어 서로 맞대고 있는 듯한 지점 그 중간에 너비 550∼3000m, 길이 30km의 보스포루스 해협이 있다. 해협 서쪽 육지가 이스탄불이다. 한때 이 도시는 ‘성모 마리아가 지켜주는 도시’로 불린 비잔틴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이었다. 비잔틴 제국이 1453년 5월 29일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한 뒤 콘스탄티노플은 이슬람 제국의 수도 이스탄불로 바뀌었다. 책은 타임머신을 타고 이 세계사의 물줄기가 바뀐 시점인 콘스탄티노플의 철옹성 테오도시우스 성으로 들어가 현장을 눈앞에서 펼치듯 생생하게 그리는 것으로 시작한다. 테오도시우스 2세가 447년에 골드혼 해협.. 더보기
[매일경제] 사라진 비잔틴제국 리더십전쟁서 졌다 [매일경제]2012-12-07 기사 ☞ 바로가기 클릭 비잔틴제국의 심장 콘스탄티노플은 중세 최강의 방어라인을 자랑했다. 육지 쪽으로 삼중 성벽이 둘러져 있고 해안의 좌우엔 거대한 쇠사슬이 연결돼 함대 근접을 막았다. 이 난공불락의 요새도 최후를 맞는다. 1453년 5월 29일 새벽 2시. 8만의 오스만튀르크 대군은 콘스탄티노플을 향해 마지막 총공세를 펼친다. 비잔틴제국은 시민군, 외인부대까지 모두 합쳐 7000명에 불과한 병력으로 철옹성 안에서 54일을 버텼지만, 전선의 최선봉을 이끌던 주스티니아니가 부상을 핑계로 도주하자 실낱같은 희망마저 사라져 버렸다. 비잔틴군 전의는 일시에 무너졌고 침략자 사기는 충천했다. 신형무기인 거포의 탄환이 사방에서 쏟아졌다. 막 해가 뜰 무렵 둑의 봇물이 터지듯 외성벽은 .. 더보기
12월 28일(금) [부산일보] 광고 12월 28일(금) 부산일보 3면에 실린 『술탄과 황제』광고입니다. 출간 1달만에 13쇄를 돌파하고 베스트셀러 대열에 진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더보기
[한국일보] "비잔틴제국 최후의 황제 목소리 되살려 패자의 역사를 복원하고 싶었습니다" 2012-11-23 [한국일보] 기사 ☞ 바로가기 클릭 ■ 역사소설 '술탄과 황제' 작가로 돌아온 김형오 前 국회의장 두달간 취재 5개월간 집필 "종군기자 된 듯 치열하게 써 술탄과 황제 꿈에 와달라 빌기도" 22일 만난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정치인 프리미엄 없이 책으로만 평가받겠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배우한기자 bwh3140@hk.co.kr 1453년 5월 29일 비잔틴제국 최후의 날은 이스탄불을 둘러싸고 동서 문명이 한판 대결을 벌인 역사의 한복판이었다. 그리고 그곳에는 뱃길이 막히자 군사들에게 배를 짊어지게 하고 산을 넘어간 오스만 제국의 열혈 술탄 메흐메드 2세와 승산 없는 싸움이었지만 항복을 거부하고 제국과 함께 산화한 비잔틴 최후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의 막상막하의 리더십이 존재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