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10-23, 동아일보 특별기고]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개헌인가 … 중심은 국민이어야 한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개헌 발언 후폭풍이 거셉니다. 대한민국 헌법은 1987년 이후 한 번도 개정되지 않았습니다. 개헌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어 있지만 내용과 방법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습니다. 이명박 정부 때인 18대 국회 전반기에 국회의장으로서 여야 학계 전문가를 망라한 개헌자문위원회(위원장 김종인)를 구성하고 종합보고서까지 냈던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개헌의 방향과 내용을 짚는 특별 기고를 보내왔습니다. 국가적 중대 사안인 개헌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함께 공유해볼 기회로 삼았으면 합니다. 권력 비대화가 부른 비극 느닷없는(?) 개헌론이 불거졌다. 이번엔 이원정부론이다. 국민이 직접 뽑는 대통령은 외교 안보 등 외치를 맡고, 국회에서 뽑는 총리가 내정을 이끌자는 것이다. 즉각 찬반양론이 나왔.. 더보기
[2014-08-13 인터넷한국일보 특별기고] ‘명량’의 울음소리를 들어라-침몰하는 리더십, 역사에서 답을 찾자 김한민 감독 영화 ‘명량(鳴梁)’을 보았다. 울돌목으로 바다의 울음소리, 칼의 울음소리를 들으러 갔다가 마음 안으로 실컷 울고 왔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이순신 장군의 고뇌에 찬 모습이 내 가슴을 서늘하게 베며 지나간다. 흥행 속도가 무섭다. 날마다 한국 영화 관객 동원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가히 ‘명량 신드롬’이다. 주요 언론도 연일 ‘명량’ 관련 기사와 칼럼을 쏟아내고 있다. 왜 우리는 이 영화에 이토록 열광하는가. 임진왜란 당시처럼 지금이 난세여서인가. 리더십은 실종되고, 세상을 구원할 영웅은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인가. 누가 있어 우리를 지켜주고, 침몰해가는 이 나라를 끌어올릴 것인가. 진정한 리더십, 영웅의 출현을 목말라 하는 국민의 갈망이 불멸의 이순신을 찾아 영화관으로 모여들고 있다... 더보기
[2014-08-05 한겨레신문 특별기고] 소 잔등의 '등에'같은 사람을 보내며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이형기 시인의 ‘낙화’에서) 손학규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이 보궐선거 다음날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선거 결과에 깨끗이 승복하며 아름다운 뒷모습을 보였다. ‘저녁이 있는 삶’으로 돌아갔다. 신선한 충격이고 감동이지만 왠지 허전하다. 14대 국회 때다. 총선 이듬해(1993년) 치러진 보궐선거로 국회에 들어온 그는 신언서판을 갖춘 에이스였다. 어느 날 같은 당 초선 의원인 나를 찾아와 자문한 적도 있었다. 나는 동갑이지만 국회 ‘1년 선배’였다. 그는 언제나 진지했고 가식이 없었다. 장관과 지사를 지냈고, 언론인이 보는 대통령감으로 선두를 놓치지 않았다. 지금도 안타까운 건 2007년 한나라당 탈당이다. 그때는 타이밍이 안 좋..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