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4-08-13 인터넷한국일보 특별기고] ‘명량’의 울음소리를 들어라-침몰하는 리더십, 역사에서 답을 찾자 김한민 감독 영화 ‘명량(鳴梁)’을 보았다. 울돌목으로 바다의 울음소리, 칼의 울음소리를 들으러 갔다가 마음 안으로 실컷 울고 왔다. 이 글을 쓰는 지금도 이순신 장군의 고뇌에 찬 모습이 내 가슴을 서늘하게 베며 지나간다. 흥행 속도가 무섭다. 날마다 한국 영화 관객 동원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가히 ‘명량 신드롬’이다. 주요 언론도 연일 ‘명량’ 관련 기사와 칼럼을 쏟아내고 있다. 왜 우리는 이 영화에 이토록 열광하는가. 임진왜란 당시처럼 지금이 난세여서인가. 리더십은 실종되고, 세상을 구원할 영웅은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인가. 누가 있어 우리를 지켜주고, 침몰해가는 이 나라를 끌어올릴 것인가. 진정한 리더십, 영웅의 출현을 목말라 하는 국민의 갈망이 불멸의 이순신을 찾아 영화관으로 모여들고 있다... 더보기
[2014-08-05 한겨레신문 특별기고] 소 잔등의 '등에'같은 사람을 보내며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이형기 시인의 ‘낙화’에서) 손학규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이 보궐선거 다음날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선거 결과에 깨끗이 승복하며 아름다운 뒷모습을 보였다. ‘저녁이 있는 삶’으로 돌아갔다. 신선한 충격이고 감동이지만 왠지 허전하다. 14대 국회 때다. 총선 이듬해(1993년) 치러진 보궐선거로 국회에 들어온 그는 신언서판을 갖춘 에이스였다. 어느 날 같은 당 초선 의원인 나를 찾아와 자문한 적도 있었다. 나는 동갑이지만 국회 ‘1년 선배’였다. 그는 언제나 진지했고 가식이 없었다. 장관과 지사를 지냈고, 언론인이 보는 대통령감으로 선두를 놓치지 않았다. 지금도 안타까운 건 2007년 한나라당 탈당이다. 그때는 타이밍이 안 좋.. 더보기
[2014-07-26 중앙일보] 특별기고 - "이제 그만 일상으로 돌아갑시다" 오늘자 중앙일보에 특별기고로 실린 글의 원문입니다. 편집 과정에서 원고지 1장 정도가 줄었습니다. 중앙일보에 실린 칼럼을 보시려면 글 말미의 바로가기를 누르시기 바랍니다. 이제 그만 일상으로 돌아갑시다” -세월호 유족 여러분께 드리는 편지- 10년 같은 100일이었습니다. 자책과 애도의 날들을 보냈습니다. 지켜주지 못해, 구해주지 못해, 아무 것도 해준 게 없어 안타깝고 미안했습니다. 온 국민이 이렇게 함께 운 적이 언제였던가요. 그런들 사랑하는 가족을 가슴에 묻은 여러분의 단장(斷腸)을 헤아릴 수나 있을까요. 소설가 박완서는 교통사고로 외아들을 잃은 충격과 고통을 ‘구원의 가망이 없는 극형’으로 표현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저는 또 다른 기대를 품었습니다. 모두가 자기 일 처럼 아파하고 슬퍼한 이 사건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