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사라진 비잔틴제국 리더십전쟁서 졌다 [매일경제]2012-12-07 기사 ☞ 바로가기 클릭 비잔틴제국의 심장 콘스탄티노플은 중세 최강의 방어라인을 자랑했다. 육지 쪽으로 삼중 성벽이 둘러져 있고 해안의 좌우엔 거대한 쇠사슬이 연결돼 함대 근접을 막았다. 이 난공불락의 요새도 최후를 맞는다. 1453년 5월 29일 새벽 2시. 8만의 오스만튀르크 대군은 콘스탄티노플을 향해 마지막 총공세를 펼친다. 비잔틴제국은 시민군, 외인부대까지 모두 합쳐 7000명에 불과한 병력으로 철옹성 안에서 54일을 버텼지만, 전선의 최선봉을 이끌던 주스티니아니가 부상을 핑계로 도주하자 실낱같은 희망마저 사라져 버렸다. 비잔틴군 전의는 일시에 무너졌고 침략자 사기는 충천했다. 신형무기인 거포의 탄환이 사방에서 쏟아졌다. 막 해가 뜰 무렵 둑의 봇물이 터지듯 외성벽은 .. 더보기 12월 28일(금) [부산일보] 광고 12월 28일(금) 부산일보 3면에 실린 『술탄과 황제』광고입니다. 출간 1달만에 13쇄를 돌파하고 베스트셀러 대열에 진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더보기 [한국일보] "비잔틴제국 최후의 황제 목소리 되살려 패자의 역사를 복원하고 싶었습니다" 2012-11-23 [한국일보] 기사 ☞ 바로가기 클릭 ■ 역사소설 '술탄과 황제' 작가로 돌아온 김형오 前 국회의장 두달간 취재 5개월간 집필 "종군기자 된 듯 치열하게 써 술탄과 황제 꿈에 와달라 빌기도" 22일 만난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정치인 프리미엄 없이 책으로만 평가받겠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배우한기자 bwh3140@hk.co.kr 1453년 5월 29일 비잔틴제국 최후의 날은 이스탄불을 둘러싸고 동서 문명이 한판 대결을 벌인 역사의 한복판이었다. 그리고 그곳에는 뱃길이 막히자 군사들에게 배를 짊어지게 하고 산을 넘어간 오스만 제국의 열혈 술탄 메흐메드 2세와 승산 없는 싸움이었지만 항복을 거부하고 제국과 함께 산화한 비잔틴 최후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의 막상막하의 리더십이 존재했다... 더보기 이전 1 ··· 95 96 97 98 99 100 101 ··· 7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