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헤드라인

2018년은 세종대왕 즉위 600주년 되는 해입니다. 세종대왕이 즉위 하신지 600년이 되었습니다. 우리 역사에서 세종만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과학 기술 등 모든 분야에서 지대한 업적을 남기신 이가 있을까요. 애민 사상에 입각한 한글 창제라는 위대한 업적은 두고두고 우리 후손들뿐만 아니라 세계의 자랑거리입니다. 국방력을 강화하고 국경을 개척하여 국토를 확장하였습니다. 세종만큼 위대한 인물이 50년에 한명씩만 나왔다면 12명의 위대한 지도자가 있어야 하는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그렇게는 안되는 것같습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론 앞으로 많은 훌륭한 위정자가 나오리라는 기대감도 들게 합니다. 앞으로 대한민국을 잘 이끌 지도자라면 반드시 세종대왕께서 몸소 실천하셨던 경청의 자세와 포용의 리더십을 갖춰야 할것입니다. 뜻깊은 세종대왕 즉위 600주년이 되는 201.. 더보기
[2018-01-23 화정 국가대전략 월례강좌] 한국 정치, 나라를 지킬 수 있나 (원고) 한국 정치, 나라를 지킬 수 있나 김 형 오 1. ‘상식’에 관하여 “한국 정치, 나라를 지킬 수 있나.”라는 제목을 받고 세 가지 주제가 떠올랐습니다. 즉 ‘한국 정치’, ‘국가 위기’, 그리고 ‘나라는 누가 어떻게 지키는가’입니다. 제 논조도 이 세 가지가 중점이 되겠습니다. 그러나 제목이 주는 준엄함과 간절함, 그 무게감이 압도적이어서 능력에 부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그래서 ‘상식’적으로 생각하고 또 말하려 합니다. 그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을 놓치지 않는 방법인 까닭이기도 합니다. “영국 식민지로부터 미국이 독립하는 것은 ‘상식’이다.” 미국 독립의 선각자인 토머스 페인이 1776년 1월 10일에 출간한 『상식(Common Sense)』은 46쪽짜리 소책자(팸플릿)지만 나오자마자 선풍적 인기와 지.. 더보기
[알립니다]제7회 化汀 국가대전략 월례강좌… 김형오 前국회의장 초청 ‘한국정치, 나라를 지킬 수 있나’ [2018-01-11 동아일보] 제7회 化汀 국가대전략 월례강좌 김형오 前국회의장 초청 ‘한국정치, 나라를 지킬 수 있나’ 23일 개최… 11일부터 참가신청 제7회 화정 월례강좌 ☞ 신청하기 ☜ 클릭 더보기
<한국핵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 격려사>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우리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가 김형오 전 국회의장 친애하는 한국핵정책학회 회장 및 회원,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지금 한반도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으로 6‧25 전쟁 이래 최대 안보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이 절박한 시기에 한국핵정책학회가 “기로에 선 한국, 핵 정책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마련했습니다. 최고 전문가들의 기탄없는 토론과 진단 그리고 명쾌한 처방을 기대합니다. 사진제공 : 파이낸셜 타임즈 전문가도 아닌 저는 오늘 아침, 왜 이 자리에 서게 된 걸까요? 먼저 제 이력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그 의구심을 해소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시다시피 저는 오랜 기간 정치권에 몸 담았고, 대한민국 의전 서열 두 번째인 국회의장을 역임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 더보기
'백범의 길'을 따라 걸은 1박 2일 ‘백범의 길’을 따라 걸은 1박 2일 - 김 형 오 - 출간을 준비 중인 ‘백범의 길, 조국의 산하를 걷다’(가제) 집필진과 함께 마곡사(麻谷寺)를 찾았다. 충청남도 공주시 태화산 기슭에 자리한 마곡사는 치하포 의거(1896년)로 수감되었던 백범 김구(白凡 金九, 1876~1949년) 선생이 1898년에 탈옥한 후 반 년 정도 원종(圓宗)이라는 법명(法名)으로 승려 생활을 하며 머물렀던 곳이다. 우리가 마곡사에 간 날은 마침 김구 선생이 태어난 날(8월 29일)이기도 해서 감회가 새로웠다. 『백범일지』에서 마곡사를 찾아가는 장면은 가장 아름다운 문장이라고 평소 생각해왔다. 특히 “한 걸음씩 한 걸음씩, 혼탁한 세계에서 청량한 세계로, 지옥에서 극락으로, 세간(世間)에서 걸음을 옮겨 출세간(出世間)의 길을.. 더보기
[2017-07-24 아나톨리아 오디세이 심포지엄 기조 발표문] "역사의 새벽을 깨운 메흐메드 2세" [2017-07-24] 아나톨리아 오디세이 심포지엄 기조 발표문 “역사의 새벽을 깨운 메흐메드 2세”-『술탄과 황제』를 통해 본 역사성과 지도력- 김형오 (전 국회의장, 현 부산대 석좌교수) 한국과 터키는 1957년 국교를 수립했습니다. 그리고 오늘 이곳 터키 수도 앙카라에서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심포지엄이 열리고 있습니다. 이 뜻깊은 행사에 기조 발표자로 초대를 받아 개인적으로 뿌듯하고 감사한 마음입니다. (앙카라=연합뉴스) 정하종 기자 =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24일 오후(현지시간) 터키 앙카라에서 열린 한ㆍ터키 수교 60주년 기념 학술ㆍ문화 심포지움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17.7.24 수교를 한 해도, 60년이 지난 금년도 한국은 닭의 해입니다. 오스만 터키의 전장(戰場) 군영에서 새벽.. 더보기
[2017-07-24 아나톨리아 오디세이 심포지엄 축사] "자유와 역사적 연대를 넘어서" [아나톨리아 오디세이 심포지엄: 축사] “자유와 역사적 연대를 넘어서” 김형오 (전 국회의장) 동족상잔의 6.25 전쟁이 발발한 지 7년이 지나고 한국과 터키는 국교를 수립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꼭 60년 전이었습니다. 이틀 후인 7월27일은 지긋지긋한 전쟁을 잠시 중지하기로 합의한 휴전협정을 맺은 지 64년이 되는 날입니다. 정식 수교국도 아니며, 터키의 국민과 젊은이들이 들어보지도 못하였던 알지도 못하는 나라와 사람들을 도우려, 함께 싸우고 피 흘리며 목숨을 걸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터키로서도 국내외적으로 여러 가지 고려 요소가 있었겠지만 나는 여기서 두 가지만 말하고 싶습니다. 첫째는 ‘자유’입니다. 모든 면에서 연약하기 짝이 없는 신생국 한국은 이제 그 국민이 그나마 누려왔던 자유마저 잃게 될 .. 더보기
[독립운동가를 찾아서/광복군 박찬규 지사]“일본군 무기를 밀반출, 광복군에 넘기려 한 18세 애국 소년”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회장직을 맡고 나서 가능하면 좀 더 자주 아직 살아 계신 애국지사를 방문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이제 그분들 얼굴을 뵐 날도 그리 많이 남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박찬규 선생은 광복군 동지회의 가장 막내 회원이며, 인천시의 유일한 생존 애국지사이십니다. [독립운동가를 찾아서/광복군 박찬규 지사] “일본군 무기를 밀반출, 광복군에 넘기려 한 18세 애국 소년” 7월 18일 오후, 독립운동가 박찬규 지사(90세) 댁을 찾았다. 강화도 민통선 건너 소담한 집에 사모님(82세)과 두 내외가 살고 계셨다.국가보훈처 자료와 오늘 들은 얘기를 종합해 일단 애국지사 박찬규 선생의 삶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1928년 충북 청주에서 태어난 그는 중국 북경에 주둔해 있던 일본군 부대의 군속으로 근무하며.. 더보기
[제68주년 제헌절 기념] 국가원로 개헌 대토론회 발제문 어제 제헌절 기념식 직후 가 열렸습니다. 비공개로 진행되었지만, KBS1에서 녹화하여 17일 오후 3시에 방송했기 때문에 보신 분도 있을 것 같습니다. 토론 발제를 제가 맡게 되었는데, 참고가 될까 하여 발제문을 아래에 올립니다. 개헌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계속되길 바랍니다. [사진출처] 노컷뉴스 [국가원로 개헌 대토론회 발제문] 새로운 개헌의 과제와 지향점 김형오 (전 국회의장) 제헌절을 맞아 헌법의 존엄성과 시대 여망에 부응하는 개헌의 전기를 마련해준 정세균 국회의장께 감사드린다. 현행 헌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권력의 집중"과 (행위와 결과에 대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점이다. 대통령을 중심한 행정부가 국회•법원에 비해 과도한 권한을 가진데 반해, 권력을 상호 견제하거나 대통령을 효과적으로 통.. 더보기
[2017-05-20] 제11회 한국박물관 국제학술대회 기조발표문 대한민국 문화 국격과 박물관의 역할 -개인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단상과 소견- 김형오 | 부산대 석좌교수, 전 국회의장 박물관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인류의 지혜 창고입니다. 초고밀도 압축 파일입니다. 박물관에 가면 나는 타임머신을 탄 듯 시공간을 넘나들며 역사 문화 예술 기행을 하곤 합니다. 박물관에서는 시간이 왜 그리도 빨리 흐르는지요. 타이베이 고궁(故宮) 박물관에서 이제 본격적 관람을 할까 했더니 동행한 해설자가 벌써 약속한 두 시간이 지났다 해서 나머지는 혼자 관람했던 기억이 납니다. 지난해 여름에 본 ‘신안 해저 유물전’도 그랬습니다. 652년 동안 바다 밑에 잠들어 있던 2만 4000여 점의 유물을 제대로 보기엔 하루해가 턱없이 짧았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원(元)나라 때 빚은 백자 접시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