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아이티 데일리]화제의 책 “술탄과 황제” - 콘스탄티노플 함락 전후사를 다룬 ‘드라마투르기(시네마투르기)’ 2012-11-23 [아이티 데일리] 기사 ☞ 바로가기 클릭 김형오 전 국회의장이 세계의 역사를 뒤바꾼 1453년 비잔틴 제국 최후의 날을 정복자인 오스만튀르크의 술탄 메호메드 2세와 이에 맞선 비잔틴 제국 최후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의 치열한 54일간의 전쟁을, 마치 당시 전쟁의 종군기자가 된 듯 치열하고 열정적으로, 때론 저자 개인의 인간적 고뇌까지 담아 역사의 한 순간을 그려냈다. 『술탄과 황제』는 작가가 4년 남짓한 산고 끝에 완성한 집념과 열정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이 책을 쓰기 위해 1453년 콘스탄티노플(지금의 이스탄불) 정복 전쟁의 한복판으로 시간 여행을 떠났다고 한다. 전쟁의 무대였던 터키 이스탄불을 다섯 번 다녀왔고, 특히 지난 4월 중순부터 6월 초순까지 47일간 현지.. 더보기
[세계일보] 문명사의 중심 바꾼 콘스탄티노플전투의 생생 기록 바로가기 ☞ 문명사의 중심 바꾼 콘스탄티노플전투의 생생 기록 술탄과 황제 / 김형오 지음 / 21세기북스 / 2만5000원 “유장하게 흐르는 역사는 반복됩니다. 역사를 제대로 알고 이해하면 세계를 보는 지평을 넓힐 수 있습니다. 1400년 이어온 로마제국(비잔틴제국)과 떠오르는 동양의 강자 오스만튀르크가 맞붙은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 전투를 종군기자의 심정으로 되짚다 보니 너무나 많은 것이 느껴졌어요. 이 전쟁은 동·서양의 대결장이었으며, 세계사의 흐름을 뒤바꾼 역사적 전쟁이었습니다.” 국회의장을 지낸 김형오(사진)씨가 4년여 시간을 들여 완성한 저서 ‘술탄과 황제’는 559년 전 벌어진 장대한 전투 현장을 묘사한 생생한 전쟁 기록물이다. 김씨는 세계일보와 전화인터뷰를 통해 “한 사나이(술탄 메흐메드 2.. 더보기
[서울경제] "비잔틴 제국 최후의 날, 두 영웅은 너무도 달랐다" 바로가기 ☞ [책과세상] 비잔틴 제국 최후의 날, 두 영웅은 너무도 달랐다 유일하게 남겨진 콘스탄티누스 11세 황제의 초상은 15세기 작품으로, 이탈리아 오데나의 에스텐스 장서고에 소장돼 있다. 사진제공=21세기북스 ■술탄과 황제(김형오 지음, 21세기북스 펴냄) 함대 이끌고 언덕 넘어간 술탄 배려 깊지만 우유부단한 황제 콘스탄티노플 함락 전후 리더십 충돌 관점서 통찰 배를 이끌고 산을 넘은 사나이가 있었다.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술탄 메흐메드 2세다. 스물 한 살의 패기 넘치는 이 지도자는 철벽수비로 막힌 바닷길을 뚫기 위해 수 척의 배를 끌고 해발 60m에 이르는 산등성이와 비탈진 언덕을 넘어 갔다. 그리고 또 하나의 사나이가 있다. 승산이 없어 보이는 싸움임에도 끝까지 항복을 거부한 채 자신이 사랑하.. 더보기
[문화일보] 2012-11-23 비잔틴 최후의 3일, 두 영웅의 인간적 고뇌 [문화일보]2012-11-23 기사 ☞ 바로가기 클릭 『술탄과 황제』 / 김형오 지음 / 21세기 북스 역사의 한 장면을 영화처럼 재현하는 데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는 마치 종군기자가 된 듯 역사의 현장으로 뚜벅뚜벅 걸어 들어갔다. 콘스탄티노플(지금의 이스탄불)을 다섯 번 다녀왔고 지난 4월 중순부터 6월 초까지 47일간 현지에 머물면서 막바지 취재 및 연구활동을 했다. 그 같은 공력을 바탕으로 1453년 비잔틴 제국 최후의 3일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콘스탄티노플 함락을 치열하고 열정적으로 다룬 이 책은 인문학적 책읽기의 재미를 안겨주는 책이다. 전개 방식은 소설이지만 그 내용은 본격적인 역사서다. 수많은 배를 이끌고 산을 넘어간 사나이가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트 2세였다. 그와 대결한 또 다.. 더보기
『술탄과 황제』 출판 기념회에 초대합니다. 더보기
41. 색인(한 줄 설명을 곁들인 찾아 보기) 색인(한 줄 설명을 곁들인 찾아보기) ◆인명 【ㄱ】 가브리엘레 트레비사노(Gabriele Trevisano)=베네치아 해군 총사령관 ; p.43, 108, 121, 221 (개정판 p.56, 61, 131, 142, 144, 188, 202, 313, 215, 256, 272, 284) 게오르기오스 스콜라리오스 겐나디오스(Georgios Scholarios Gennadios 겐나디오스)=콘스탄티노플 함락 이후 술탄에 의해 정교회 총대주교로 임명된 정교회 주교 ; p.57, 68, 69, 229, 267, 294, 456 ( 개정판 p.73, 85, 264, 307, 336, 481) 귈베하르 하툰(Gülbehar Hatun)=메흐메드 2세의 첫째 부인 ; p.142, 332, 336, 427 (개정판 p.. 더보기
41.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일지=『다시 쓰는 술탄과 황제』 452쪽 참고 (구간 428쪽 참고) 콘스탄티노플 공방전 일지(1453년 4월 2일~5월 29일)A Daily Record of Constantinople Battle 4. 2(월) 오스만군 선봉, 콘스탄티노플 도착. 비잔틴 수비군과 오스만 선발대 사이의 소규모 전투 발발. 비잔틴군, 해자 위의 교각과 도개교 파괴. 도시의 모든 성문 닫음. 비잔틴군, 골든 혼 입구에 쇠사슬 설치. 4. 5(목) 술탄 메흐메드 2세, 콘스탄티노플 도착. 성벽 4km 앞에 진을 침. 술탄, 마흐무드 파샤를 콘스탄티노플로 파견해 항복 권유. 황제, 황복 거부. 4. 6(금) 오스만군, 술탄의 명령에 따라 막사를 옮겨 성벽 1.6km 앞에 진을 침. 콘스탄티노플 포위 완료. 오스만군 대포 발사. 4. 7(토) 오스만군, 성벽 400m 앞에서 최종 포진 마침. 술탄.. 더보기
23. 술탄 함대의 금각만 진입 장면 =『다시 쓰는 술탄과 황제』 197, 199, 422쪽 참고 (구간 168, 402쪽 참고) Osman Armada Entry into Golden Horn 배들을 이끌고 갈라타 언덕을 넘어 골든 혼으로 진입하려는 오스만 함대를 진두지휘하고 있는 술탄 메흐메드 2세. 콘스탄티노플 정복의 분수령이 된 기상천외하고도 획기적인 작전이었다. 궁전과 성벽 너머로 펼쳐진 바다를 놓아두고 이 대형 선박들은 왜 산(언덕)을 넘어가고 있는 걸까? 1453년 4월 22일, 술탄 메흐메드 2세 함대의 골든 혼 진입 장면 등 전쟁당시의 상황을 리얼하게 묘사해 놓은 옛 그림. 15세기 중후반의 이스탄불을 등고선과 축적 등을 정확히 고증하여 현대식으로 그려낸 중요하고도 재미 있는 지도 자료. 치프테 슈툰(디플로키온 ; 이중 열주, 오른쪽 동그라미 표시 부분)과 술탄이 함대를 이끌고 진입한 카슴파샤(왼쪽 동그라미 표시 부.. 더보기
36. 노란 튤립=『다시 쓰는 술탄과 황제』 356쪽 참고 (구간 375쪽 참고) Yellow Tulips 열드즈 사라이 정원에 탐스럽게 피어난 저 황금빛 오스만의 터번들. 노란 튤립은 5월 17일의 탄생화로서, 꽃말은 '사랑의 표현'이다. 튤립은 터키가 원산지이나 네덜란드의 대표적인 꽃처럼 되어 버렸다. 터키에서 옛 품종 복원에 성공, 이를 '오스만 튤립'이라 한다. 꽃잎이 뭉툭하고 도톰한 일반 튤립과는 달리 끝이 뾰족하게 하늘로 향하지만 날카롭지는 않다.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고, 귀티가 나면서도 오만해 보이지 않아 터키는 물론 세계인의 사랑을 받기에 손색이 없는 꽃이다. 에미르간 공원 산책로 주변에 아름답게 무리지어 핀 형형색색의 튤립들. 해마다 4월이면 이스탄불에서는 랄레(Rale ; 튤립) 축제가 펼쳐진다. 전면에 보이는 노란색 2층 건물은 주말이면 근사한 레스토랑이 되어 주.. 더보기
37. 반지하 비잔티움 교회=『다시 쓰는 술탄과 황제』 373, 461쪽 참고 (구간 362쪽 참고) A Semi-basement Byzantine Church 석굴 교회의 입구(2012년 봄). 삼중 성벽 중 내성벽과 외성벽 사이의 통로는 폭이 10~20미터여서 군마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했다. 그러나 유일하게 이곳에만은 그 통로의 3/4을 막아선(?) 낡은 건축물이 있다. 내성벽에 딱 붙여 지은 반 지하 비잔티움 교회이다. 벽이 움푹움푹 파이고 벽돌들도 많이 떨어져나가 금방이라도 폭삭 허물어져 내릴 것만 같은 모습이다. 랜턴 불빛에 의지하지 않으면 대낮에도 어두컴컴해 내부를 관찰하기 어렵다. 떨어진 벽돌 몇 개가 바닥에 나뒹굴어 있다. 2010년 여름, 처음으로 방문했을 때의 석굴 교회 입구 풍경(위 사진과 비교해 보라). 그때만 해도 출입구 오른쪽에 걸인들이 잠자리로 삼아 몸을 눕힌 듯 더러운 소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