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0. 메흐메드 말년의 터번 쓴 초상화=『다시 쓰는 술탄과 황제』 436쪽 참고 (구간 320, 337쪽 참고) Portrait of Great Sultan Mehmet II(1480, by Gentile Bellini) 술탄 메흐메드 2세 말년의 초상화. 통풍과 비만으로 합병증에 시달리던 이 시기, 메흐메드는 대중 앞에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려 하지 않았다. 그러나 뚱뚱한 몸과 병색이 짙어야 할 얼굴은 이 인물화 속에는 묘사되어 있지 않다. 시와 음악, 풍류를 즐기기도 했던 그는 이슬람 학자들이 쓰는 모자(터번)를 즐겨 썼다. 그가 들고 있는 꽃은 야생 장미(카네이션?). (이스탄불 톱카프 박물관 소장. 종이에 불투명 도료로 채색. 39x27cm). 내 책의 표지에 활용한 초상화다. 15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이탈리아 작가 코스탄조 다 페라라(Costanzo Da Ferrara)의 청동 작품인 술탄 메흐메드 2세의 .. 더보기
39. 메흐메드 2세의 정복 사업 연표=『다시 쓰는 술탄과 황제』 435쪽 참고 (구간 337쪽 참고) 메흐메드의 정복 사업 A Chronological Table ; Conquests of Mehmed Ⅱ#Colin Imber ; 『The Ottoman Empire 1300~1481』에서 발췌(이스탄불) ※무라드 2세 1(1421~1437년) 1421~22년 ; 내전 1422~23년 ; 콘스탄티노플 포위 공격 및 내전 재발 1423년 ; 내전 후유증 1423~24년 ; 테살로니카 포위 및 비잔틴과 조약 1424~25년 ; 아이든(Aydin) 및 멘테세(Mentese) 정복 1425~27년 ; 테살로니카, 왈라키아, 세르비아와 전쟁 1426~28년 ; 베네치아 외교의 실패 1427~29년 ; 골루바트(Golubats) 함락, 차닉(Canik)과 제르미얀(Germiyan) 정복 1429~30년 ; 테살로니카.. 더보기
38. 겔리볼루 요새와 차낙칼레 요새 & 에디르네 유적=『다시 쓰는 술탄과 황제』 406쪽 참고 (구간 333쪽 참고) Gelibolu Fortress, Çanakkale Fortress & the Remains of Edirne 16시 53분을 지나가고 있는 차낙칼레의 시계탑. 큰바늘이 14시를 가리키고 있었다면 나는 반사적으로 1453년을 떠올렸을 것이다. 차낙칼레 항구. 맞은편에 겔리볼루(유럽) 쪽 다르다넬스 해협의 끝이 보인다. 나는 이 항구에서 배를 타고 다르다넬스 해협을 건너 겔리볼루로 갔다. 술탄 메흐메드 2세의 귀환 여정을 답사하기 위해서였다. 다르다넬스 해협을 지나면서 스마트폰에 담은 겔리볼루 요새. 겔리볼루(유럽)와 차낙칼레(아시아)는 이 해협을 사이에 두고 양쪽 해안에 요새를 구축해 놓았다. 다르다넬스 해협 한가운데에서 바라본 차낙칼레 요새. 보스포러스 해협보다는 폭이 넓지만 이런 전략적 요충지에 요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