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우헌기, 257km 사막을 걸어 굶주린 아이들 배를 채우다 우헌기 전 (주)택산상역 대표이사는 지난 9월 23일부터 29일까지 꼬박 일주일간 쉬지 않고 미국 유타주 사막 257Km를 도보로 횡단했다. ‘천년의 미소’라는 블로그 ☞바로가기 클릭☜ 아이디에 어울리는 맑고 부드러운 인상과는 달리 다이내믹하고 익스트림한 어드벤처를 즐기는 그는 만능 레포츠 맨. 김형오 전 국회의장과는 대학 동문으로 2009년 여름 이스탄불에도 함께 다녀온 오랜 친구 사이이다. 김 전 의장은 우헌기 대표가 지난해 해외 어린이 돕기 이벤트를 겸한 사하라 사막 마라톤에 참가했을 때도 자신의 블로그에 그 경험담 ☞극한의 사막에서 꿈을 찾고 나눔을 실천하다☜를 링크해 많은 사람과 공유하려 했다. 이번에도 우헌기 대표는 자원봉사 단체인 ‘해피 포럼’의 지인들과 ‘아름다운 유산학교’라는 사회단체를 .. 더보기 [동아일보] 김형오 前국회의장 “정치권에 문제 제기하려 역사책 저술” 바로가기 클릭 ☞ 김형오 前국회의장 “정치권에 문제 제기하려 역사책 저술” 더보기 격려 메일, 감사합니다. (가제)를 탈고했다는 제 메일(☞바로가기 클릭☜)에 많은 분들이 답신을 보내 주셨습니다. 한 분 한 분 답장을 써 보내는 게 도리지만 그러기엔 대상이 너무 많고, 또 원고 보완 작업을 하느라 짬을 내기가 쉽지 않군요. 그래서 결례를 무릅쓰고 블로그를 통해 고맙다는 인사를 대신합니다. 격려와 성원의 말씀에 힘입어 책이 나오는 날까지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에 매진하겠습니다. 이 짧은 글을 쓰는 지금도 메일을 열어 보니 몇 통의 새 편지가 와 있군요. 아래는 제게 보내 주신 지인들의 격려 메일입니다. 거듭 감사 말씀 올리며, 즐겁고 풍성한 한가위 보내시기 바랍니다. 2012년 9월 28일, 김형오 드림. 박 성 창 - 서울대 국문과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이렇게 엄청난 일을 계획하고 실행에 옮기셔서 이제 그 .. 더보기 탈고(脫稿)했습니다. 동시에 탈고(脫苦)했습니다. - 김형오 드디어 손을 털었습니다. 참 힘들고 오랜 기간이었습니다.길게는 2009년 1월부터니 4년 세월이었고, 짧게는 지난 4월 중순부터였으니 꼬박 5개월 반이 걸렸습니다. 금년 4월과 5월은 이스탄불 현지에서 취재 및 연구로 보냈고, 6월부터는 서울에서 본격적인 집필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선거철이라서 신문과 방송의 인터뷰 요청이 적지 않았지만, 6월 초 한두 군데 나가다 보니 이래선 내 일을 못하겠다 싶어 딱 끊었습니다. 그 뒤로는 지난 24일 처음으로 한 TV 프로에 출연했습니다. 세기의 정복자 오스만 튀르크의 술탄 메흐메드 2세와 이에 맞서는 비잔틴 최후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가 두 주인공입니다. 1453년 5월 29일, 천년 제국이 망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제국이 들어서기까지 50여 일간의 치열한 전쟁.. 더보기 [TV조선/신율의 대선열차 - 대선 삼국지] 대선 승부처 ‘PK 민심’ 향방은? 바로가기 ☞ TV조선/신율의 대선열차(2012. 9.24. 월 방송분) 더보기 [전자신문] "주인도 손님도 없는 ICT 정책…중심이 필요하지 않겠나" 인터넷 기사 바로가기 ☞ 김형오 전 국회의장 "차기 정부 ICCT통합부처 만들어야"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디지털 정치인`으로 불린다. 그는 흔치 않게 10년 넘게 국회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에서 활동했고 위원장도 역임했다. 그는 국회에서 “종이 없는 국정감사를 하자” “디지털로 공공기관을 개혁하자” 등 ICT를 기반으로 한 혁신안을 끊임없이 주장했다. 그런 주장은 세월이 흘러 현실이 됐다. 그의 경력은 화려하다. 기자에서 관료로, 다시 정치인으로 남다른 인생을 살았다. 20년간 정치를 했다. 입법부 수장인 국회의장까지 역임했다. 인생 3모작은 성공이었다. 지난 4월 19대 총선 불출마 선언 후 그는 정치 일선에서 한 발 물러났다. 그를 서울시내 한 음식점에서 만났다. 거리는 덥고 습한 날씨로 숨이 턱턱 막.. 더보기 [영도소식지 6월호] "영도는 더 이상 섬이 아닙니다" 사랑하는 영도 구민 여러분! 어느새 여름입니다. 물 적신 수건처럼 이마에 와 닿는 시원한 영도의 바람이 그리워집니다. 영도는 제가 꿈을 키우고 희로애락을 함께 나눠온 인생의 터전, 풀 한 포기, 돌 하나에도 애착이 가는 곳입니다. 영선동 '맏머리새미' 둘째 아들, 이송도 앞바다, 돌담집에서의 추억은 지금도 선합니다. 눈을 감으면 어머니가 가꾸시던 덩굴장미의 아름다운 자태가 떠오릅니다. 그윽한 향기가 코끝으로 스밉니다. 제가 직접 심은 어린 야자 묘목은 양철 지붕보다 키가 높이 자랐습니다. 저는 이송도의 파도 소리를 자장가 삼으며 하루를 마감했고, 그 소리가 자명종처럼 울릴 때 하루를 시작했습니다. 푸른 남해를 바라다보며 미래를 설계했습니다. 할머니와 부모님 모두 영선2동 그 돌담집에서 사시다가 돌아가셨습.. 더보기 [아주경제] 김형오 전 국회의장, “19대 초선 공천.당론.지역으로부터 해방되라” 정치원로, 19대 국회에 바란다 기사입력 2012-06-27 19:16 | 기사수정 2012-06-27 19:16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 19대 국회가 한달 가까이 문을 닫고 있다. 무노동 국회에 국민적 질타가 쏟아지는 시점에 김형오 전 국회의장은 뒷짐을 지고 한강 물줄기를 내려다보고 있었다. 20년간 금배지를 가슴에 달았던 김 전 의장이다. 국회 공전, 대화정치의 실종, 행정부처의 세종시 이전 등 그동안 풀지 못한 책무가 정치원로의 두 어깨를 누르고 있는 것 같았다. 멈추지 않고 흐르는 물길처럼 우리나라가 나가야 할 역동적 미래상에 대한 고민도 그의 얼굴에 담겼다. “이 곳 찾기가 좀 힘들지요”란 인사로 시작된 이날 김 전 의장과 양규현 아주경제 정치사회부장과의 대담은 26일 63빌딩 내 한 카페에서.. 더보기 [서울대 동창회보 인터뷰] 콘스탄티노플, 오랫동안 버려져 있던 근대의 시작 정치 중앙무대서 물러나 터키 다녀온 김형오(외교67) 전 국회의장 인터뷰 콘스탄티노플, 오랫동안 버려져 있던 근대의 시작 제18대 국회 전반기 2년간 국회의장을 지냈던 김형오 전 의장은 작년 8월, 19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그는 불출마 선언 이후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있다 4월 16일 터키 이스탄불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이스탄불로 떠난 지 47일 만인 6월 2일, 한국에 돌아왔다. 성공한 정치인으로서의 삶을 정리하고 그를 불현듯 이스탄불로 떠나게 한 동력은 무엇이었을까? 지난 6일 오전 10시, 서울 서초동 팔래스 호텔에서 김 동문을 만나 그 이야기를 들어봤다. 그가 작년 8월, 19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것은 오래전부터 결심이 서있었던 일이었다. 이유는 여러 가지였지만, 주된 이유는 바로 .. 더보기 [서울신문] 559년전 터키를 캐는 이 남자 김형오 기사 바로가기 ☞ [김문이 만난사람] 559년전 터키를 캐는 이 남자 김형오 559년전 터키를 캐는 이 남자 김형오 비잔틴 역사전문가로 변신한 김형오 前국회의장 역사를 알면 인생의 재미가 열 배는 더 있다. 교훈이 있고 아픔이 있고 느낌이 있다. 산다는 것은 과거가 있고 현재가 있고 미래가 있기 때문이다. 그것이 어우러져야 한 인생의 스토리를 얘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제 하나. 콘스탄티노플을 아는가. 대다수는 얼추 알 것이다. 그렇다면 질문은 왜? 그속에 진정 무엇인가가 담겨져 있을까. 역사책에는 비잔틴의 최후 도시로 알려져 있다. 사실상 비잔틴은 동서양의 역사가 오롯이 담겨져 있는 곳이다. 그러나 이 중요한 역사를 제대로 다루지 않고 있다. 스티븐 런치먼이 지은 ‘콘스탄티노플 최후의 날’의 서문을 .. 더보기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