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 인용 궤변’과 ‘황당한 비유’? 읽기 전에 잠깐…내가 ‘계란’으로 ‘바위’를 치는 이유 중앙일보는 9월 1일자 및 2일자 지면의 상당 부분을 할애해 강용석 의원을 변호한 나에 대한 격렬한 비난으로 채웠습니다. 기사, 해설, 취재 일기, 만평, 칼럼은 물론 사설까지 동원해 신랄하게 나를 비판했습니다. 상당 부분이 사실을 왜곡‧과장했으며, 사리에 맞지 않는 지적들이 많아 독자들로 하여금 적잖은 오해를 하게 했고 나는 엄청난 비난에 시달렸습니다. 나도 국민 정서를 모르지 않고, 강 의원의 잘못을 두둔할 생각은 추호도 없었습니다. 뒷수습도 안타까울 정도로 미숙했고 원성을 사기에 충분했습니다. 그런데 본의 아니게 나는 국회 발언 이후 그의 '취중 실언'을 포함해 사후 처신까지도 옹호하는 사람처럼 비쳐졌습니다. 트위터와 일부 언론의 책임도 없지 .. 더보기
“죗값을 치렀다. 아니, 치르고 있다. 이제 그만 용서하자” 강용석 의원을 위한 변론 “죗값을 치렀다. 아니, 치르고 있다. 이제 그만 용서하자” 김형오 예상은 했지만 이렇게까지는 아니었습니다. 어제 오후 강용석 의원 제명안과 관련한 저의 국회 발언을 두고 비난의 화살이 쏟아졌습니다. 인터넷에 제 이름 석 자 치기가 두려울 정도입니다. 이 블로그의 방명록과 게시판도 저를 향해 날아온 돌로 수북합니다. 저는 마치 밀실에 숨어 은밀한 목소리로 궤변과 부적절한 비유를 동원해 제 식구를 감싼 파렴치범처럼 매도되었습니다. 성경을 오독하고 예수를 모독한 사람처럼 돼 버렸습니다. 숲은 없고 나무만 있습니다. 아니, 나무도 없고 곁가지만 있습니다. 잎사귀만 달랑 몇 장 있습니다. 본질은 실종되고 말았습니다. 제 양심에 떳떳하지 못한 일이었다면 애초에 나서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 더보기
막다른 골목에선 쥐가 고양이를 문다 김형오의 유머 펀치 ⑤=궁하면 통한다 막다른 골목에선 쥐가 고양이를 문다 바보가 사는 집에 강도가 들어와 칼을 뽑아 들며 말했다. “내가 낸 문제를 10초 안에 맞히면 목숨만은 살려 주지. 삼국 시대의 세 나라 이름을 말해 봐.” 바보는 답을 몰랐다. 10초가 지났다. 강도가 칼을 들이대자 바보는 새파랗게 질려 소리쳤다. “허걱! 배째실라고 그려?” 바보는 살았다. 강도가 ‘백제 신라 고구려’로 알아들었기 때문이다. 궁하면 통한다고 했던가요? 바보는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가까스로 목숨을 건졌습니다. 우리는 이런 상황에서 흔히 ‘궁즉통(窮則通)’이란 단어를 떠올립니다. ‘벼랑 끝 전술’ ‘막다른 골목에선 쥐가 고양이를 문다’라는 비유도 곧잘 씁니다. 하지만 이는 엄밀히 말하면 정확한 해석이 아닙니다. 어원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