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7. 테오도시우스의 성벽=『다시 쓰는 술탄과 황제』121, 366쪽 참고 (구간 99, 312, 384쪽 참고) Walls of Theodosius 테오도시우스의 성벽은 내 책 에 QR코드를 도입하게 만든 가장 큰 요인이었다. 책의 본문에도 군데군데 등장하고, 성벽 복원도(개정판 에필로그 화보, 구간 101쪽)도 수록하고, 부록(개정판 366~367쪽, 구간 384~398쪽)에도 여러 지면을 할애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했다. 무엇보다도 삼중 성벽의 그 웅장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 주지 못하는 점이 아쉬웠다. 그래서 인터넷을 통해 캡션과 함께 성벽과 성문의 이모저모를 담은 사진들을 제시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그 전달 방법으로는 QR코드 만한 도구가 없으리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스탄불에 머무는 동안 내가 가장 자주 찾고, 또 긴 시간을 답사한 곳이 바로 이 성벽이었다. 나는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는 이.. 더보기
13. 루멜리 히사르=『다시 쓰는 술탄과 황제』99, 195, 411쪽 참고 (구간 81쪽 참고) Rumelihisarı : Roumeli Hissar Castle 정복 전쟁의 전초 기지 역할을 했던 루멜리 히사르(유럽의 성)는 1452년 보스포러스 해협에서 가장 협소한 유럽 쪽 해안에 지어졌다. 맞은편 아시아 쪽에는 1397년에 세워진 아나돌루 히사르가 있어 양쪽 해안에서 지나가는 선박들의 목을 조르는 형국이었다. 이 성채가 완성됨으로써 흑해 지역 기독교 국가들이 비잔틴 제국을 지원할 수 있는 해로가 봉쇄되어 콘스탄티노플은 고립무원의 처지가 된다. 경사지에 축조된 루멜리 히사르는 양쪽 끝 언덕 위에 성탑이 각각 하나씩 있고, 바닷가에 위치한 세 번째 성탑에는 바다로 통하는 성문을 지키는 망루가 있다. 성벽의 전체 길이는 250미터, 폭은 가장 넓은 부분이 125미터이다. 북쪽 성탑은 사루자 파샤, .. 더보기
11. 테오도시우스(엘레우테리우스) 항구 & 마르마라 해안 성벽=『다시 쓰는 술탄과 황제』75, 133, 144, 366쪽 (구간 59, 110쪽 참고) Harbour of Theodosius(Eleutherios) & Walls of Marmara Sea 테오도시우스 항구는 마르마라 해안에 위치해 있던 항구들 중 가장 규모가 컸지만 퇴적물이 쌓여 정복 전쟁 당시에는 항구로서의 기능을 거의 상실한 상태였다. 격전지 리쿠스 강의 핏물이 이곳을 거쳐 바다로 흘러들어갔다. 이스탄불 시가 그 자리에 물류 센터를 짓기 위해 토목 공사를 시작하자 수많은 유물과 유적들이 쏟아져 나왔다. 그 자체가 그대로 문화재 발굴 작업이었다. 발굴된 문화 유산들은 고고학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그 전까지는 이스탄불이란 도시의 역사를 6000년으로 보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작업 과정에서 출토된 유물유적들이 이 도시의 역사를 새로 쓰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이스탄불은 2000년.. 더보기